[재건축 '쩐의 전쟁'] '현금 파워'가 하반기 한강 수주혈전 좌우

  • 6·27 대출 규제 이후 이주비 지원이 수주 핵심 변수로

그래픽아주경제
[그래픽=아주경제]
“서울 강남 3구나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에서 이주비 6억원으로 전세를 구할 수 있나요? 정비사업 첫 단추인 이주부터 차질이 생기면 철거, 착공도 줄줄이 늦어질 공산이 커서 시공사의 추가 이주비 지원에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죠.”(서울 강남권 한 재건축 조합원)

올 하반기 서울 강남권과 한강변을 따라 다수 정비사업 수주전이 예정돼 있는 가운데 6·27 대출 규제로 이주비 대출이 제한되면서 건설사의 자금 조달이 수주전의 주요 기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30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과거 대규모 정비사업지에서는 조합원당 15억~20억원 정도 이주비 대출이 가능했지만 이번 6·27 대출 규제로 기본 이주비 대출이 최대 6억원으로 제한됐다. 시공사가 지원하는 추가 이주비에 대한 의존도가 커질 수밖에 없는 환경인 셈이다.

기존에는 브랜드와 시공능력 등이 시공사 선정의 핵심 키였다면 최근 이주비 지원에 관심이 쏠리면서 신용도와 자금 동원 능력 등 금융조건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개포우성 7차 재건축 수주에 뛰어든 삼성물산은 사실상 '한도 없는 이주비'를 내세우며 주택담보대출비율(LTV) 150% 이상도 지원 가능하다는 점을 부각하고 있다.  업계 최고 수준인 신용등급(AA+)을 바탕으로 필수사업비와 사업촉진비 등을 포함한 사업비 전체를 시중 최저금리 수준으로 제공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경쟁 상대인 대우건설은 LTV 100% 이주비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기본 이주비(LTV 50%)를 제외하면 추가 이주비로 LTV 50% 조건을 제시했다. 여기에 필수사업비 전액에 대해 '양도성예금증서(CD)금리+0.00%'로 제안했다. 현재 CD금리는 약 2.5% 수준인데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보증 수수료까지 부담하는 조건을 제시한 것이다.

개포우성 7차 사례에서 보듯 하반기에 예정된 여의도 대교아파트, 성수 전략정비구역, 송파한양2차 등 대규모 정비사업 수주전도 ‘금융 전쟁’이 될 공산이 크다고 정비업계는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대출 규제가 오래 지속되면 향후 정비사업 등에 부작용이 나타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시공사의 이자 부담 증가로 사업비 상승이 예상되고, 자금 여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중견·중소업체들이 발을 붙일 수 없어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자금 여력이 있는 건설사는 수주에 유리하고 이로 인해 건설사 간 양극화는 심화할 수밖에 없다"며 "조합도 유리한 조건을 내걸면서 비용이 크게 올라가고 자금 여력이 부족한 건설사는 도시정비사업 참여는 거의 불가능하거나 지방으로 가야 한다. 결국 주택 공급에 차질이 예상되는 상황이지만 규제로 인해 당분간 이 분위기가 해소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