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고위관계자는 25일 “국민적 분노를 낳은 부산저축은행 사건에 대통령 측근과 권력 심장부에 있는 청와대 수석까지 검찰에 소환되고 있다”며 “역대 정권 말에 드러났던 권력형게이트의 전철을 밟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청와대는 완전히 분위기가 가라 앉았다. 부산저축은행 사건이 진행되면서 현 정권 인사인 은진수 전 감사위원과 김해수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이 기소된 상태다. 여기에 청와대 원년 멤버이자 최측근인 김두우 전 홍보수석에게도 검찰의 구속영장이 청구돼 27일 구속여부가 결정된다.
홍상표 전 홍보수석도 부산저축은행 로비스트 박태규씨로부터 금품을 수수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또 현정권의 홍보 브레인 신재민 전 문화관광체육부 차관도 ‘스폰서 논란’에 휩싸였다. 이국철 SLS 조선 회장이 신 전 차관에게 10여년동안 10억여원이 넘는 돈을 줬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의 레임덕 가속화의 한축인 친인척 비리도 고개를 든 상태다. 최근 이 대통령의 사촌형이 “4대강 이권을 주겠다”며 3억원을 챙기다 사기 혐의로 피소되는 사건이 터졌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역대정권마다 반복되던 임기말 측근과 친인척 비리 뇌관이 터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며 “최근 여당 요구에 밀려 감세방침을 철회하는 등 청와대의 정책 추진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측근 비리 등으로 국정 장악력을 완전히 잃어버리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에 청와대는 민정·정무라인을 중심으로 대통령 친인척 관리에 보다 신경 쓰고 여당과 긴밀히 협조해 위기 상황을 극복하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특히 여당 일각에서 제기되는 ‘대통령 탈당’ 요구에도 강력 대응하기로 했다.
청와대 한 인사는 “잘못이 있다면 대통령과 아무리 가깝더라도 법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며 “국정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한나라당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