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경기둔화속 기업 10곳 중 3곳 이자도 못갚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9-26 08:4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올해 국내 상장기업 10곳 가운데 3곳은 이자조차 제대로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대외적 불확실성에 따른 경기둔화 등이 원인이 된 것으로 분석하면서 한계기업에 대한 점진적인 구조조정과 함께 금융기관의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계기업이란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으로 이자(금융비융)도 감당하지 못해 더이상 성장하기 어려운 재무 부실기업을 말한다.

◇한계기업 오름세 본격화 ‘조짐’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천491개 조사업체 가운데 올해 2분기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의 비중은 30.2%로 전년 같은 기간(26.1%)보다 4.1%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기업 10곳 가운데 3곳꼴로 한계기업이란 얘기다.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은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을 수 있는 능력으로, 이 비율이 100%에 못 미치면 돈을 벌어 이자도 못 갚는 셈이다.
이 가운데 영업이익이 나지 않아 이자를 한 푼도 갚을 수 없는 이자보상비율 0% 미만인 기업은 지난해 2분기(19.2%)보다 2.3%포인트 늘어난 21.5%에 달했다.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인 기업의 비중은 2009년 평균 32.3%에서 2010년 27.3%로 줄었으나 올해 들어 다시 30% 안팎으로 늘어났다.

신용보증기금이 거래하는 기업 가운데 한계기업의 보증 규모도 증가 추세를 보였다.

신보는 △최종 2개년 연속 총차입금이 매출액을 초과하는 기업 △최종 2개년 연속 자기자본 전액 잠식기업 △최종 3개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기업 중 하나에 속하는 기업을 한계기업으로 보고 있다.

신보의 한계기업 보증 규모(특별보증 제외)는 2007년 8천535억원, 2008년 1조64억원, 2009년 1조1천927억원, 2010년 1조2천202억원으로 늘어났다. 올해들어서는 지난달까지 1조2천11억원을 보증했다.

다만 전체 보증잔액 대비 한계기업 보증 비중은 2007년 3.0%, 2008년 3.4%, 2009년 3.1%, 2010년 3.2%, 2011년 8월 현재 3.1%로 비슷한 수준을 이어갔다.

신보는 이들 기업 가운데 지난달 기준 부실징후가 나타난 289개 기업에 대해서는 구조조정(신용관리) 프로그램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경기둔화 원인‥구조조정 유도해야”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춤하던 한계기업이 올해 들어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는 데 대해 전문가들은 대외적 불확실성이 점증하는 데 따른 기업환경 악화를 주요 원인으로 지적했다.

이지언 한국금융연구원 금융시장·제도연구실장은 “경기여건이 안 좋으면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계기업이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더욱이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이어 2금융권까지 대출을 조이고 있고 환율마저 급등하고 있어 앞으로 한계기업은 더욱 늘어날 수 있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은 “기업들의 경쟁력이 높아져 과거보다 환율의 민감도는 떨어졌지만 대체로 기업들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며 “특히 한계기업이 큰 충격을 받게 된다”라고 말했다.

정책 당국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지난 20일 열린 한은 경제동향간담회에서 한 경제전문가는 “중소 서비스업에서 한계기업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면서 “적극적인 구조조정과 함께 금융기관의 신용리스크 관리가 강화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신보는 하반기부터 한계기업 퇴출시스템을 적용, 2천여개 기업에 대해서 자구 노력을 강화해 구조조정을 유도할 예정이다.

신보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보증확대 정상화 조치를 진행하면서 중소기업의 도덕적 해이와 구조조정 지연 등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특히 부실징후가 있는 한계기업에 대해서는 보증해지계획 수립과 특정약정 체결 등을 통해 단계적 보증 감축을 실시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