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발유 등 석유제품 가격을 결정하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는 홈페이지를 통해 9일부터 소매 휘발유 공급가를 1t당 300위안(5만5530원) 낮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9일 0시부터 베이징시의 중국석유(페트로차이나)와 중국석화(시노펙) 주유소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옥탄가 93 휘발유는 1ℓ 당 전보다 0.24위안(44.42원) 내린 7.61위안(1408.61원)에 팔리고 있다.
고급 휘발유인 97 휘발유와 디젤유의 새 값은 각각 0.26위안 내린 8.10위안과 7.53위안으로 정해졌다.
이번 인하는 지난해 6월 이후 처음으로 중국 당국은 국제 유가 인상에 따라 4차례나 석유값을 인상했다.
중국의 석유값은 한국 등 주변국에 비해 가격이 싸지만 정작 중국 국민들 사이에서는 국제 유가 하락이 시의적절하게 가격에 반영되지 않아 국영 기업인 석유회사들의 배만 불린다는 불만이 팽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최근 수개월간 유럽과 미국의 재정위기와 중국의 긴축 분위기 속에서 국제 유가는 꾸준히 하락세를 보였으나 중국 당국은 이제서야 가격 인하를 단행했다.
세계 2위 석유 소비국인 중국은 헤이룽장성 다칭 유전 등지에서 적지 않은 석유를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있지만 급증하는 소비 탓에 자급률은 45%선에 그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