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퍼드대학교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EPGY(Education Program for Gifted Youth)는 내년 6월 졸업할 30여명에게 ’스탠퍼드 온라인 고등학교‘라는 이름으로 졸업장을 수여한다.
네브래스카대학교 링컨캠퍼스와 미주리 대학도 지난 몇 년간 연간 250명과 85명에게 학위를 수여했고 지난 1월에는 조지워싱턴대학교 온라인 고등학교가 문을 열었다.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 명성을 떨치는 미들 베리 대학은 지난해 K12, 영리기업과 함께 전국적으로 5만명을 교육할 수 있는 온라인 고등학교 어학과정을 개설했다.
미들 베리대 총장은 대학과 관련 없는 선생님들이 가르치는 프로그램에 학교 이름을 빌려주는 것이 물론 위험하기는 하지만 “이렇게 함으로써 수백만 달러의 운영예산을 벌 수 있고, 수업료 등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당초 온라인 교육은 외진 곳에 사는 학생을 위해 마련했지만 스탠퍼드 온라인 고등학교는 이제 재능있는 학생들을 끌어들이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졸업생들은 입시에서도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졸업생 75명 중 스탠퍼드에 8명, 아이비리그 등 유명대학에 25명 등 69명이 4년제 대학에 입학하는 성과를 거뒀다.
한편에선 많은 대학이 온라인 고등학교 운영에 뛰어들면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로널드 크러처 휘튼대 총장은 최근 영리목적의 기업으로부터 온라인 고등학교 구성에 동참하라는 제안을 뿌리쳤다며 “대학은 대학이 잘하는 것에만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을 드러내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