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교수는 지난 달 축농증을 비롯한 12건의 부비동 관련 수술을 3차원 내시경으로 시행했다.
지금까지 부비동염 내시경 수술은 2차원적인 영상을 이용해 이뤄졌다.
복강경이나 로봇을 이용한 수술에서 3차원 영상이 사용되지만 내시경 두께가 10mm에 달해 좁고 복잡한 비강이나 부비동에는 적용이 힘들었다.
이번에 사용된 3차원 내시경은 두께가 4mm에 불과하다.
김창훈 교수는 “부비동염에 대한 수술과 부비동 종양 등에도 3차원 내시경의 활용도가 높다”며 “지금까지 내시경 수술이 불가능했던 비인강과 뇌기저부의 악성종양도 안전하게 수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