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주요 노동단체들은 7일 연금 개혁을 비롯한 정부의 재정긴축안에 항의하기 위해 오는 12일 3시간 동안 총파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최대 노조인 이탈리아노동연맹(CGIL), 이탈리아노동자총동맹(CISL), 이탈리아노동조합연맹(UIL) 등 3개 노동단체는 특히 연금개혁이 봉급 생활자 등 서민들에게 불공평하다고 주장하며 파업 계획을 밝혔다.
핵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부문 근로자들은 12일에 파업하지 않는 대신 다른 날을 선택해 파업을 실시한다고 이탈리아 뉴스통신 안사(ANSA)가 보도했다.
수산나 카무소 CGIL 위원장은 "우리의 목표는 노동자와 연금생활자들에게 가장 심각한 문제인 연금개혁안의 개정을 이끌어내는 것"이라고 말했고, 라페엘레 보나니 CISL 위원장은 정부가 협상에 응하지 않을 경우 이달 중에 하루 총파업을 실시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리오 몬티 총리가 지난 4일 발표한 재정긴축안에 따르면 내년부터 매달 지급되는 연금액의 상한선은 물가가 상승하더라도 936 유로로 제한된다. 또 여성 근로자의 은퇴 연령은 60세에서 62세로, 남성은 65세에서 66세로 연장돼 연금 지급 개시 시점이 늦춰진다.
이와 함께 은퇴 전에 연금을 납부해야 하는 기간이 현행 40년에서 남성은 42년으로, 여성은 41년으로 각각 늘어난다.
노동계의 반발이 현실화되고 정부의 인기가 하락하고 있음에도 불구, 몬티 총리는 재정긴축안의 강도를 완화할 생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몬티 총리는 지난 6일 TV에 출연, 내년에 202억 유로에 달하는 재정적자 감축을 달성하기 위해 재정긴축안의 내용에 소폭의 조정이 있었지만 의회 심의 과정에서 완화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몬티 총리는 "대안을 택할 경우 그리스와 같은 결말을 맞을 위험이 있으며, 공무원 월급이나 연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며 "시간이 별로 없으며 융통성을 발휘할 여지도 거의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