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 3차장(북한 담당)을 지낸 한 교수는 이날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이 교내 호암교수회관에서 연 `김정일 사망, 한반도의 미래는?' 토론회에서 "(김정은은) 장악력이 취약하고 내년에 당장 해결해야 하는 과제들이 많아 이를 그냥 방치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이같이 분석했다.
권력 승계 시점에 대해서는 "영결식 이후 내년 초에 할 수도 있고 4.15(김일성 생일), 혹은 김정일 1주기 때 할 수도 있는데 체제 분위기를 애도에서 충성으로 바꿔야 한다는 점이나 권력을 한꺼번에 잡는다는 부담 때문에 1주기가 지나 국방위원장을 장악하는 단계적 수순을 밟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김정은의 권력 세습에는 문제가 없다"며 "경력 쌓기가 충분하지 않아 전반적인 국정 운영은 불리하겠지만 이미 김정은을 내정했다는점, 대안 세력이 없다는 점, 오랜 우상화나 통제장치 등 북한 정치체제의 특성으로 볼 때 이반의 여지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산적한 체제 모순과 주민 불만 확산으로 장기적인 불안정성이 이어지겠지만 체제 붕괴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장달중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는 "김정은 체제가 단기적으로는 안정적일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 북한 리더십 구조에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며 "1인 지배체재가 집단적 지배체제로 바뀌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예상했다.
토론회에서는 김정은 체제하의 개혁ㆍ개방 가능성에 대해서도 일부 참석자들이 이견을 보이는 가운데 활발한 논의가 진행됐다.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는 "북한의 개혁과 개방은 특권계층에게는 정치적 자살"이라며 "김정은 정권이 개혁과 개방을 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윤영관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시장화가 가속화되면서 지배층과 피지배층의 권력 구도 및 북한 주민의 충성도가 영향을 받는다"며 "마지못한 개혁 개방 정도의 형식으로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 전 장관은 또 "특권층이 단합해 개혁개방을 안하면 안할수록 장기적으로는 붕괴의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