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성 연구원은 "가격전가력을 보유해 원가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경쟁완화로 점유율 회복과 마케팅비 개선이 진행중"이라며 "사회트렌드 변화로 편의식품, 조미식품 소비의 점진적 증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우 연구원은 "다품종소량생산과 주력시장에서의 높은 시장지배력으로 재료비 상승시 가격전가를 통한 원가율의 유지가 가능하다”며 “지난해에도 제품판가인상과 할인율 축소 등으로 원가부담이 완화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해 업계 차원의 경쟁완화로 점유율 회복과 마케팅비 개선이 이뤄졌고, 올해에도 이같은 기조는 이어질 것"이라며 "지속적인 이익성장에도 불구, 현재 주가는 저평가 상태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