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한나라당이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점을 고려해 ‘트위터 역량지수’를 공천에 반영키로 한데 따른 부작용의 사전 차단에 나선 것.
비대위 눈높이위원장을 맡고 있는 조현정 비대위원은 이날 분과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예전부터 광고 등 목적으로 트위터 계정을 거래하는 사례가 있었는데 최근 정치권에서도 이러한 요구가 생겼다고 한다”며 “한나라당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역량지수를 공천에 반영한다니까 거래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인데 적발될 경우 상당한 불이익을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공천 심사에서 유리한 점수를 받기 위해 트위터 계정거래를 한 것이 팔로워들에게 발각될 경우, 한나라당 전체에 비판 여론을 키울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조 비대위원은 다만 “지난주부터 현역 의원 166명의 트위터 사용현황을 매일 분석한 결과 갑작스런 팔로어수의 증가 등 트위터 계정 거래로 의심되는 상황은 없었다”며 현재까지 거래가 발각될 경우는 없다고 덧붙였다.
비대위는 이와 함께 페이스북 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을 확정하고 공천 후보자들의 SNS 역량지수를 실시간으로 공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눈높이위원회의 구창환 자문위원은 “페이스북의 친구 숫자와 팬의 숫자, 프로필 등 기본적인 데이터에 더해 댓글 등 상호작용이 중요한 페이스북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몇가지 정성평가를 반영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를 기반으로 이준석 비대위원이 제작하고 있는 트위터 역량지수 측정 어플리케이션 ‘한나라소셜레이팅시스템’(가칭)을 이용해 SNS 역량 지수를 공개 하자는 것.
비대위는 다만 정성평가 항목과 항목별 계수, 지수산출 공식은 불필요한 논란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이와 함께 이날 회의에서는 당내 디지털팀을 SNS 지원센터로 확대 개편해 총선 이후까지 상시 운영하는 방안이 논의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