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친이계의 고민은‘탈당의 명분이 없다’는 것이다. 지난해 홍준표 대표 체제를 흔들 때 친이·친박(친박근혜)계 모두‘박근혜 구원등판론’을 외쳤다. 이들은 박근혜 비대위원장에게 비상대책위 구성과 당 쇄신 전권 등 일감 몰아주기를 했다. 이미 비대위가 출범했을 때 친이계나 친박 중진들에게 향후 있을 ‘용퇴’ 요구도 예상했어야 했다. 쇄신의 골자는 당 구조도 개혁 대상이지만 인물 교체도 기본이기 때문이다.
이들이 망설이는 이유는 또 있다. 2000년 민국당 학습효과 때문이다. 16대 총선을 불과 한 달 남겨놓고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한 인사들이 나가 민국당을 만들었다. ‘킹메이커’ 김윤환씨를 비롯, 신상우, 이기택씨 등 당내 중진들이 합심했지만 선거에서 지역구 1석, 비례대표 1석을 건지는 참담한 결과를 얻었다.
물론 출구는 있다. 인적 쇄신은 합리적인 원칙과 공정한 기준을 통한 공천작업에서 하면 된다. 그전에 특정 인사를 지목해 물러나라고 하는 것은 문제라면서 비대위를 공격하고 탈당해 무소속으로라도 선거에 나서면 된다. 어차피 공천에서 탈락할 운명이라면 말이다.
그러나 국민들은‘책임정치’를 원한다. 집권 여당에 몸담았던 인사들이 탈당하기보다는 당에 남아 현 정부의 공·과를 모두 안고 민의 심판을 받길 원한다. 민의 결정으로 정권교체를 해야 민주주의는 발전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