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MB정부실세, 탈당하면 살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1-30 17:3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보수는 부패해서 망하고 진보는 분열해서 망한다”는 말이 바뀔 판이다. 보수를 표방하고 있는 한나라당에서 ‘MB(이명박)정부 실세 용퇴론’이 재점화되고 있다. 이에 친이(친이명박)계 중진들은 “누가 누굴 심판하느냐”며 반발하고 있다. 여당의 적전분열이 초읽기에 들어간 분위기다.

하지만 친이계의 고민은‘탈당의 명분이 없다’는 것이다. 지난해 홍준표 대표 체제를 흔들 때 친이·친박(친박근혜)계 모두‘박근혜 구원등판론’을 외쳤다. 이들은 박근혜 비대위원장에게 비상대책위 구성과 당 쇄신 전권 등 일감 몰아주기를 했다. 이미 비대위가 출범했을 때 친이계나 친박 중진들에게 향후 있을 ‘용퇴’ 요구도 예상했어야 했다. 쇄신의 골자는 당 구조도 개혁 대상이지만 인물 교체도 기본이기 때문이다.

이들이 망설이는 이유는 또 있다. 2000년 민국당 학습효과 때문이다. 16대 총선을 불과 한 달 남겨놓고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한 인사들이 나가 민국당을 만들었다. ‘킹메이커’ 김윤환씨를 비롯, 신상우, 이기택씨 등 당내 중진들이 합심했지만 선거에서 지역구 1석, 비례대표 1석을 건지는 참담한 결과를 얻었다.

물론 출구는 있다. 인적 쇄신은 합리적인 원칙과 공정한 기준을 통한 공천작업에서 하면 된다. 그전에 특정 인사를 지목해 물러나라고 하는 것은 문제라면서 비대위를 공격하고 탈당해 무소속으로라도 선거에 나서면 된다. 어차피 공천에서 탈락할 운명이라면 말이다.

그러나 국민들은‘책임정치’를 원한다. 집권 여당에 몸담았던 인사들이 탈당하기보다는 당에 남아 현 정부의 공·과를 모두 안고 민의 심판을 받길 원한다. 민의 결정으로 정권교체를 해야 민주주의는 발전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