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꼴찌 하나은행, 1위 연봉 외환은행 인수 어쩌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1-31 09:3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외환은행 연봉 5170만원..하나은행의 1.4배

(아주경제 김희준 기자)외환은행의 직원 1인당 연봉과 생산성이 주요 은행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 국민, 우리, 신한, 하나, 기업, 외환 등 6개 주요 은행이 거둔 순이익은 총 9조1506억원이었다.

이를 총 직원 수 7만8442명으로 나눌 경우 1인당 평균 순익은 1억1670만원이다.

은행별로는 직원 수 7627명에 불과한 외환은행이 1억4478억원의 1인당 수익을 거둬 생산성이 가장 높았고 기업은행은 1억4238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신한은행(1억3194만원), 우리은행(1억1546만원), 하나은행(1억1260만원) 순의 생산성을 보였다.

6대 은행 중 국민은행이 1인당 순이익(7101만원)을 기록하며 가장 낮은 생산성을 보녔다.

국민은행의 부진은 이익 규모가 비슷한 다른 은행보다 직원이 훨씬 많고 개인 고객 위주의 소매금융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국민은행 직원은 2001년 주택은행과의 합병 이후 2만1000여명의 인원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은 각각 1만4000여명에 비해 많은 수준이다.

지난해 1~3분기 급여 또한 외환은행이 517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반면 외환은행을 인수할 하나금융의 하나은행은 3800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자회사의 연봉이 모회사보다 무려 1.36배나 많은 구조.

때문에 금융권에서는 하나금융이 생산성이 높은 외환은행을 인수한 것에 대해 높이 평가하면서도 투 뱅크 체제로 인해 현행 급여수준을 유지할 경우 고비용 구조가 지속돼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외환은행 인수를 앞두고 하나은행과의 형평성을 위한 하나금융의 묘안이 절실해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