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미 경제부 기자 |
물론 물가실명제로 물가 안정에 목을 매고 있는 정부로서는 서울시의 공공요금 인상이 달갑지 않을터다. 평소 완곡한 표현을 쓰는 박 장관이 직설적으로 비판하고 나선 것만으로도 그 심각성이 느껴진다.
그러나 서울시도 할 말은 있다. 서울시의 교통요금은 2007년 4월 이후 계속 동결돼 왔고, 지하철과 버스의 누적적자는 3조5000억원에 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박 시장은 “(요금인상) 문제를 외면하다가는 서울의 부도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절박함을 내비치기까지 했다.
하지만 재정부와 서울시의 날선 발언이 국민들에게 좋게 보일리는 없다. 재정부의 말대로 당장 교통요금이 150원 오르면 공공요금 인상은 연간 소비자물가를 0.06%포인트 상승시키기 때문이다.
공공요금 뿐이겠는가.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일부 제품들의 가격이 잇달아 오름세인데다 미국의 이란 제재로 국제 유가는 고공행진을 멈출줄 모른다. 체감온도 영하 20도를 오가는 매서운 한파에 국민들의 어깨가 더욱 움츠러들고 있는 것이다.
어쨌든 논란의 불씨가 된 서울시의 교통요금이 이미 확정된 상황에서 서로를 향한 비난은 잠시 접어둬야 할 듯 싶다. 정부와 지자체, 생각은 달라도 모두 국민을 위해 일하는 곳이다. 게다가 양 박은 '소통행정'이라는 수식어까지 붙을 정도로 현장과의 소통을 중시하는 인물들 아닌가.
정부의 물가안정 노력과 서울시의 적자해소는 둘다 중요한 가치를 지녔다. 서로를 비판하기보다 향후 국민들의 시름을 최소화하기 위해 허심탄회하게 소통할 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