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한국은행의 국제수지 통계를 보면 지난해 개인ㆍ문화ㆍ오락서비스 수입은 7억9400만달러(약 8900억원)로 관련 통계가 나온 1980년 이후 가장 많았다.
문화사업을 통한 국외 수입은 주로 영화, 라디오, TV프로그램 제작, 음악녹음, 교육ㆍ보건서비스 등과 관련해 해외에서 얻은 수익이다.
국외 문화산업은 1996년까지 전무했으나 1997년 500만달러를 시작으로 조금씩 늘어나 2005년에는 2억6800만달러까지 증가했다. 이후 2007년 4억4800만달러, 2010년 6억3700만달러 등 해마다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한은은 이에 대해 K-팝이 아시아는 물론 유럽이나 미국 등 서구권에서도 큰 인기를 얻자 한류와 관련된 수입이 급증한 것이라고 추정했다.
또한 신흥국을 중심으로 해외 건설수주가 잇달아 건설서비스 수입 역시 크게 늘었다.
지난해 1월 대우건설이 나이지리아에서 8200억원 규모의 발전소 공사를 수주했다. 현대건설, 쌍용건설, 삼성물산, 경남기업 등도 각각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등에서 대규모 공사를 확보했다.
지난해 건설서비스 수입은 전년보다 26.8% 늘어난 151억8500만달러로 역대 최고액을 달성했다. 건설업이 국내에서 -5.6%의 성장률을 기록한 것과 대조적이다.
컴퓨터ㆍ정보서비스 수입과 지적재산권 등 사용료 수입도 각각 4억2400만달러, 43억2000만달러로 1980년 이래 가장 많았다.
대신 운송이나 보험서비스 등은 글로벌 재정위기의 여파로 전년보다 수입이 줄어들었다.
실제로 운송수입은 370억5700만달러로 전년 대비 4.9%, 보험서비스 수입은 4억1900만달러로 18.7% 감소했다.
해상운송화물 수입 또한 전년보다 10.4% 감소했다. 항공운송화물 수입도 6.2% 감소했으며, 배로 운송하는 화물이 운송 중에 일어나는 사고에 보상하는 해상보험인 적하보험 수입은 47.0% 급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