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상담과 대출과정, 사후관리에서는 우리은행이 최고 평점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8일 한국소비자원이 한국능률협회컨설팅과 함께 최근 3년내 은행에서 20∼30평 미만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주택담보대출상품 만족도는 농협이 7점 만점에 평균 3.53으로 우리ㆍ신한은행(3.52점)을 근소하게 앞질렀다.
농협은 주택담보대출상품 세부 항목 중 '주택담보대출 이외의 부가서비스'와 '무료 중도상환 기간 적정' 부문에서 1위를 기록했다.
신한은행은 '중도 상환시 수수료 적정', 우리은행은 '기준금리의 다양한 선택' 부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주택담보 이자율 적정'은 농협과 신한은행, 하나은행이 3.56점으로 동일한 점수를 얻었다.
상담ㆍ대출 과정 만족도는 우리은행(평균 4.57점), 하나은행(평균 4.56점) 순으로 조사됐다.
우리은행은 '상품에 대한 지식 및 상담능력 보유', '고객에 유리한 조건으로 상담', '상담 및 대출자 대기시간 적절'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하나은행은 '업무처리 신속', '직원 응대 태도 친절', '대기실 및 상담 테이블 정돈', 신한은행은 `이용 약관에 대한 설명 충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주택담보대출 사후관리 만족도는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이 평균 4.25점으로 최고점을 기록했다.
우리은행은 `사후관리 잘 이뤄짐‘, `사전 안내 시기적절’, 신한은행은 `대출 관련 정보 제공‘, `가계 도움되는 정보 제공’, `고객 정보 보호 노력‘에서 1위였다.
한편 주택담보대출을 위한 은행 선택 요인으로는 전체의 71.4%가 '주택담보대출 이자율'을 꼽았다. '주택담보대출 규모‘(10.6%), `대출기간 및 상환기간’(9.7%)이 뒤를 이었다.
대출을 받은 이유로는 '가계운영 자금 마련'(26%)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부채상환’(25%), `사업자금‘(4%) 순이었다.
정부 기관이 주택담보대출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