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지난 2008년 2월 29일부터 올해 2월 10일까지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 변동률은 24.3%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26.1%로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고 이어 경기 24.4%, 신도시 23.1%, 인천 13.6% 순이었다.
서울은 비강남권(26.2%)의 전세가 상승률이 강남권(25.8%)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구별로는 강서구가 37.9%로 상승폭이 가장 컸고 광진(34.0%)·중랑(30.9%)·강북·도봉(30.5%)·마포(29.6%)·중(27.9%)·성동구(27.7%) 등 순이었다.
주택형별로는 65㎡ 미만(공급면적 기준) 소형의 상승률이 41.3%에 달했으며, 66~95㎡대는 32.5%, 99~128㎡대 26.8%, 132~161㎡대 18.9%, 165~195㎡대 13.5%, 198㎡대 이상 10.1% 각각 올랐다.
신도시에서는 동탄신도시가 무려 87.9%나 상승했다. 이어 파주운정(36.2%)·산본(30.0%)·중동(22.8%)·평촌(20.5%)·분당(19.6%)·일산(17.5%)·김포한강신도시(2.1%) 순이다.
동탄신도시 반송동 나루마을신도브래뉴 127㎡의 현재 전셋값은 2억3500만원으로 4년전보다 1억2250만원 올랐다.
면적별로는 65㎡ 미만(38.5%)과 66~95㎡대(30.5%)를 중심으로 상승폭이 컸다.
경기에서는 화성시가 42.1%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오산(41.2%)·하남(35.7%)·용인(35.1%)·남양주(34.8%)·군포(29.9%)·과천(28.9%) 등 순이었다.
화성 병점동 주공그린빌9단지 105㎡는 4년전보다 8500만원 오르면서 1억7000만원선에 전셋값을 형성했고, 오산 원동 대원아파트 79㎡ 1억1500만원으로 같은 기간 5250만원 뛰었다.
인천은 서구(17.8%), 동구(17.1%), 남동구(16.5%) 순으로 상승폭이 컸다.
닥터아파트 이영호 리서치연구소장은 “MB정부 기간 보금자리주택 공급에 따른 대기수요 증가와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 하락으로 전세 수요가 늘어나면서 전셋값이 크게 올랐다”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