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작년 11월 대만과의 항공 회담 결과 신설된 김포~쑹산 주 7회(회당 200석 미만) 운항권을 티웨이항공에 주 4회, 이스타항공에 주 3회씩 배분했다고 23일 밝혔다.
수도권에서 가까운 공항을 이용하는 김포~쑹산 노선은 평균 탑승률 80%대의 인천~타이베이 노선을 능가하는 ‘황금노선’으로 꼽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등 7개 국적항공사 모두가 선호했다.
특히 최근의 한류 열풍이 더해지면서 하루에 수백명의 대만의 관광객들이 입국하고 있는 황금 노선이다.
국토부는 저가항공사의 정책적 육성과 소비자 선택의 폭 확대라는 측면에서 저가항공사에 운수권을 배분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저가항공사 가운데 경영 사정이 좋지 않은 티웨이항공과 이스타항공에게 수익성 높은 노선에 취항할 수 있는 권리를 줌으로써 두 회사의 자구책 마련을 측면 지원한다는 포석도 깔려 있다.
실제 티웨이항공은 현재 입찰 마감을 앞두고 있으며 이스타항공 역시 지난해 말부터 인수합병 대상으로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국토부는 김포~쑹산 노선과는 별도로 항공교통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기타 항공회담 등으로 확보한 21개 노선 주 50회의 국제항공 운수권을 5개 항공사에 배분했다.
인천~타이베이 노선의 주 4회 증대 운수권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에 각각 주 2회(주 500석) 배분했다. 두 항공사는 이로써 인천~타이베이 노선을 주 11회씩 오갈 수 있게됐다.
인천~파리 주 1회(300~349석) 운수권은 아시아나항공이 가져갔다. 지방~홍콩 노선 주1회, 한국~필리핀노선 주1회는 제주항공, 과 진에어에 각각 분배됐다.
한편, 이날 티웨이항공의 공개 입찰 마감을 앞두고 있어 이번 항공권 배분이 티웨이항공의 호재로 작용 할지 항공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