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총진료비는 2006년 428억9000만원에서 2010년 590억3000만원으로 약 161억원이 증가(37.6%), 연평균 증가율 8.4%로 나타나 중증 질환 환자수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최근 5년간(2006~2010년)의 심사결정자료를 통해 ‘알코올성 간 질환(K70)’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남성이 매년 약 86.2~87.1%, 여성이 약 12.9~13.8%의 점유율을 보여 남성이 여성보다 약 6배 이상 많았다.
연령별로는 2010년 기준으로 40대(26.4%)~50대(29.6%)의 점유율이 56%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60대(16.9%)와 30대(14.3%)에서도 비교적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50대를 기준으로 50대미만 연령층에서는 점유율이 점차 감소, 50대이상에서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성 간 질환은 크게 지방간·알코올성 간염·간경화증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2010년 진료인원을 세부상병으로 분류해 본 결과 알코올성 지방간(26.8%)과 알코올성 간염(26.1%)으로 진료받은 인원이 많았으며, 중증에 속하는 알코올성 간경화증도 13%를 차지했다.
알콜성 간 질환의 환자수는 줄어드는데 진료비가 상승한 이유로는 알콜성 간질환이 만성질환이므로 알콜성 간경화 등 중증의 질환으로 진행되는 환자수가 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심평원측은 설명했다.
알코올성 간 질환은 과다한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간 질환을 의미하며 무증상 단순 지방간에서부터 알코올성 간염과 간경화 및 이에 의한 말기 간부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질환군을 통칭한다.
알코올성 간 질환의 원인은 과도한 음주가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진용 고대 안암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아무리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약을 복용하더라도 술을 마시면 아무런 효과가 없다" 며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술을 끊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정 교수는 "알코성 중독 환자들은 이미 뇌에도 상당한 손상을 받는 경우가 많으며 알코올성 건망증이나 신경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며 "초기에 적절히 투여하지 않으면 영구적인 뇌 손상을 받아 회복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