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는 2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사단법인 '자치분권연구소'가 마련한 정치콘서트에 출연, 사회자가 대선 출마 여부를 묻자 “여기에 있는 동지들과 의논해 봐야겠다”면서 이같이 대답했다.
이는 사실상 연말 대선 출마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정치적 상황을 주시하면서 민주통합당의 대선후보 경선 레이스에 뛰어들지를 결정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돼 주목된다.
무소속이던 김 지사는 지난 16일 민주당에 입당했다.
김 지사가 초대 이사장을 맡은 자치분권연구소는 그를 지지하는 지방자치운동 활동가들의 모임으로, 민주통합당 원혜영 의원이 앞서 열린 이취임식에서 4대 이사장을 맡았다.
김 지사는 유력한 대권주자로 부상한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에 대해 “서로 긴밀한 협력관계”라면서 “며칠전 '문재인, 대통령 감 아니다'는 제목의 기사가 나가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그는 “옛날처럼 정치적 보스가 자금을 모아 전국을 조직하는 시대라면 문 이사장이 대통령을 하기 힘든데, 지금은 소통과 연대, 수평적 리더십 등의 새로운 시대이기 때문에 그가 민주진보진영의 가장 유력한 대선주자라고 얘기했는데 (뒷부분을) 작두를 가지고 잘라냈다”고 해명했다.
김 지사는 “민주진보진영을 갈라치기 하려고 그렇게 기사를 썼는지 모르지만 우리 두 사람이 그런 농간에 놀아날 정도는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지역패권을 극복하기 위해 야권 연대를 잘 해, 4ㆍ11 총선에서 부산ㆍ경남ㆍ울산의 41개 의석 중 두자릿수(10석 이상)를 얻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원 의원은 취임 인사말에서 “부천시장과 남해군수로 있던 시절부터 김 지사와 자치와 분권에 대해 구상하고 사람사는 세상을 만드는 일에 함께 했다”며 “후배이지만 존중하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현태 남해군수가 “골고루 균형발전이 이뤄지는 선진분권국가를 만드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면 그 나라를 이끌 지도자는 자치분권에 가장 투철하고 씨를 뿌린 사람이 돼야 한다”고 분위기를 띄우는 등 이취임식은 김 지사의 대선 출정식을 방불케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