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카트도로나 수리지에서 볼 쳐도 될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2-25 06: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상관없어…부상· 클럽손상 고려해야



(아주경제 김경수 기자) 볼이 카트도로나 수리지 등지에 멈췄다. 규칙상으로는 구제받아 드롭하고 칠 수 있으나 라이나 스탠스가 괜찮아 그대로 치고 싶다.

어떻게 해야 하는가. 얼마든지 그냥 칠 수 있다. 물론 벌타도 없다. 단, 치다가 부상을 당하거나 클럽이 손상될 경우를 생각해야 한다. 또 로컬룰로써 특정지역에 볼이 떨어질 경우 ‘드롭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을 땐 로컬룰을 따라야 한다.

재미교포프로 미셸 위는 2006년 미국LPGA투어 삼성월드챔피언십에서 세 번이나 카트도로에서 샷을 강행했다. 1라운드에서 두 번이나 했던 카트도로위 샷을 3라운드 14번홀(파4)에서 또한번 선보였다. 그의 드라이버샷이 페어웨이 오른편 카트도로 오른쪽 끝자락에 멈췄다. 카트도로(움직일 수 없는 인공장해물)에서 구제받으려면 도로 오른쪽에 ‘니어리스트 포인트’를 정하고 드롭해야 하는데, 그곳은 벙커나 다름없는 경사진 모래밭이었다.

미셸 위는 카트도로에서 그냥 샷을 하는 옵션을 택했다. 홀까지 124야드를 보고 친 9번 아이언샷은 제대로 맞지 않아 그린 왼편 벙커에 빠졌으나 그는 약 20m거리의 벙커샷을 곧바로 홀에 집어넣었다.파4홀에서 두 번이나 샷을 잘 못하고도 버디를 잡은 것.

최경주가 프레지던츠컵에 처음 출전한 2003년 11월 남아공 조지의 팬코트CC. 대회 3일째 경기에서 미국팀 타이거 우즈는 찰스 하웰 3세와 짝을 이뤄 인터내셔널팀의 비제이 싱-레티프 구센 짝과 대결을 벌였다. 16번홀(파5)에서 우즈의 티샷이 페어웨이 왼편 카트도로에 멈췄다. 웬만하면 드롭을 해야 할 터이지만, 카트도로 양측은 경사지인데다 러프도 깊어 드롭할 장소가 마땅치 않았다.

우즈는 그래서 그대로 치기로 했다. 카트도로에서 친 2번 아이언샷은 스커드 미사일처럼 낮게 날아가더니 그린을 살짝 지나서 프린지에 멈췄다. 여기저기에서 환호성이 터졌다. 우즈-하웰3세 짝은 그 ‘굿 샷’에도 불구하고 싱-구센 짝에게 2홀차로 지고 말았다.

또 우즈 얘기다. 2009년 7월 미국 메릴랜드주 콩그레셔널CC에서 열린 미국PGA투어 AT&T내셔널 1라운드 때의 일. 16번홀(파5)에서 두번째 샷이 러프에 빠졌는데, 라이는 괜찮은 편이었다.그러나 스탠스는 러프옆 카트도로에 취해야 할 판이었다. 스탠스를 취하는 데 카트도로가 걸리므로 니어리스트 포인트를 정한 뒤 드롭하고 칠 수 있으나, 우즈는 카트도로에 발을 대고 칩샷을 한끝에 버디를 잡았다. 드롭을 하면 볼의 낙하충격으로 인해 라이가 더 나빠질 수도 있었기에 우즈는 드롭하지 않고, 곧바로 샷을 한 것으로 보인다.

혹 자신은 볼이 카트도로 부근에 떨어지면 다음 샷 라이를 생각하지 않고 무조건 드롭할 궁리만 하는 골퍼는 아닌가? <골프규칙 24-2,25-1>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