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선제적 가격인하로 한미 FTA 활용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2-28 1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3월 15일 발효되는 미국과의 FTA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미국시장에서 선제적 가격인하에 나서는 마케팅을 강화하고, 원산지 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는 29일 발표한 ‘우리기업의 한미 FTA 활용전략’ 보고서를 통해 “미국은 중국에 이어 제2의 수출시장이지만 대중수출의 70%가 미국 등지의 우회수출임을 감안한다면 미국이야 말로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수출시장”이라면서 “한미 FTA 발효를 2005년 이래 2%로 하락한 미국시장 점유율을 다시 3%대로 끌어올릴 수 있는 기회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상의는 한미 FTA 활용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선제적 가격인하로 시장점유율을 높일 것 ▲적기생산·A/S체계를 구축하고 현지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할 것 ▲대중소기업간 협력을 통해 미국 세관의 원산지검증에 대비할 것 ▲국내유턴의 가능성을 검토할 것 등 4대 전략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한미 FTA가 발효되면 미국 소비자와 바이어들이 기존 거래제품과 비교하며 한국제품의 가격변화에 관심을 갖게 될 것”이라 보고 “협정발효 초기부터 가격인하에 선제적으로 나서 미국시장의 기대에 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미국 바이어들은 시장의 수요변화에 맞춰 디자인이나 제품설계 등에서 새로운 요구를 많이 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적기생산시스템 등 신속한 대응능력을 갖추느냐의 여부가 미국시장 개척에 매우 중요하며, 애프터서비스나 물류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한미 FTA의 경우 기업 스스로 원산지증명서를 작성하면 되기 때문에 원산지증명절차가 상당히 간소화됐지만 미국이 원산지검증을 가장 강력하게 추진하는 나라이고, 부정발급 적발시 관세추징은 물론 고액의 추가벌금을 물어야 하므로 원산지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원산지관리에 대한 조사와 감시도 강화됨을 유념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세관은 작년 섬유산업 한 분야에서만 9개국 165개 업체를 직접 방문해 조사한 전례가 있다.

이밖에도 보고서는 “해외진출기업의 국내유턴이 촉진되면 일자리 창출 등 국가경제 전체에도 도움이 되는 만큼 정부도 유턴기업에 대해 세제지원을 강화하고 유턴 희망기업에 대한 One-stop 지원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