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지난해 2월(4.5%)이 워낙 높아 기저효과가 작용해 물가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게다가 치솟는 유가로 인해 불안요인은 계속되고 있어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지적이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 상승해 1월의 3.4%보다 상승폭이 다소 둔화됐다. 이는 공공서비스와 축산물 지수의 안정에 따른 것이다.
소비자물가는 지난 8월 4.7%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후 올해 1월 3%대로 진입한 바 있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2.5% 상승, 지난해 2월(2.6%) 이후 12개월 만에 2%대를 기록했다. 전월보다는 0.1%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동월보다 2.6%, 전월보다 0.5% 각각 상승했다.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8% 오르고 전월보다는 0.5% 상승했다.
생선·채소·과실류 등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채소, 과실 등 농산물 가격이 상승하면서 전달보다 3.6% 올랐고 지난해 2월보다 0.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축수산물은 전월보다는 0.2% 하락했지만 작년 같은 달보다는 0.3% 상승했다.
농산물은 상승세를 보인반면, 축산물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안형준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구제역 이전 수준으로 돼지 사육두수가 회복돼 돼지고기 가격 하락이 축산물 가격을 끌어내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지표상으로는 물가가 안정권에 접어든 것처럼 보이지만 불안요인은 여전하다.
이란 제재 등 중동정세 불안 및 글로벌 유동성 확대에 따른 투기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안 과장은 “국제유가 상승은 거의 시차를 두지 않고 국내물가에 반영된다”며 “두바이유 월평균가격이 작년 2월 배럴당 100.24달러에서 지난달 115.99달러로 올랐는데, 같은 기간 석유류 가격이 7.9% 올랐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통계청은 3월 소비자 물가에 대학등록금, 보육료 지원 확대 등 정부정책의 효과는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도 국제유가 상승은 지속적인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