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알코올의존치료센터는 최근 5년간 알코올 의존 상담 환자 288명(남자 240명, 여자 48명)을 조사한 결과 75.4%가 ‘평소 혼자 술 마시는 것을 즐겨한다’고 답했다고 3일 밝혔다.
혼자 술 마시기를 즐기는 여성은 82.3%로 남성 75%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는 10대 0.3%(1명), 20대 3.8%(11명), 30대 18.5%(53명), 40대 32.2%(92명), 50대 29.4%(84명), 60대 이상 15.7%(45명)으로 사회적 활동이 왕성하고 대인관계도 활발해야 할 20~40대의 비율이 높았다.
이들은 자기연민에 잘 빠지며 술로 해결하려 하거나(75.1%), 술을 마시고 싶은 충동이 일어나면 이를 참을 수 없고(71.3%), 조금이라도 입에 술을 대면 혼자서라도 술을 계속 마시고 싶어하는 경우가 지배적(85.8%)인 성향을 지녔다.
스트레스나 괴로움을 잊기 위해, 혹은 무엇인가에 의존하게 위해 혼자서 술을 마시는 행동은 매우 위험하다고 전문가들은 충고한다.
혼자 술을 마시면 여럿이 대화를 나누며 마실 때보다 안주를 거르고, 빠르게 많이 마실 가능성이 커 신체 건강 문제는 물론 심각한 알코올의존증까지 유발할 수 있다.
취한 상태에서는 충동적인 경향이 커져 후회할 행동을 저지를 우려도 높다.
이런 것을 잊기 위해 또 술을 찾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심리적 의존뿐 아니라 신체적인 의존성도 자라게 된다.
특히 여성이 혼자 마시는 비율이 남성보다 높은데, 이는 정신적으로 더욱 위험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여성은 남성보다 우울증과 불안증의 빈도가 높기 때문이다.
우울증과 불안증은 음주를 조장하기도 하지만 술을 마시다 우울증과 불안증이 심해질 수 있어, 결과적으로 자살 등 위험한 행동의 가능성도 높아진다.
나홀로 음주는 주변에서 음주 사실을 쉽게 눈치 채지 못해 알코올 의존이 심각하게 진행될 때까지 방치될 가능성도 높다는 점도 문제다.
특히 주부의 경우 혼자 있는 낮 시간에 음주를 하기 때문에 문제가 훨씬 커진 다음에야 가족이 알아차리곤 한다.
가족 중에 음주를 즐기는 사람이 있다면 행동에 문제가 없더라도 자주 취하진 않는지 유심히 살펴는 자세가 필요하다.
취중의 행동이나 음주량을 기록해 술을 깬 후에 되돌아 볼 수 있게 해주면 도움이 된다.
조기에 음주 문제를 치료 받도록 권유하고 지지해주는 것도 중요하다.
불면이나 불안, 우울 등 심리적인 문제가 있을 때 술의 힘을 빌리기보다 전문가를 찾도록 한다.
이수정 알코올의존치료센터장은 “술을 매일 마시거나 습관적으로 혼자서 마시는 경우, 남들에게 주량을 줄여서 말하고 일과 활동을 술 마시기 위한 방향으로 선택·조정하는 경우엔 알코올의존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알코올 의존 자가진단법>
(4가지 이상이면 알코올 의존 상태)
- 자기 연민에 잘 빠지며 술로 이를 해결하려 한다.
- 혼자 술 마시는 것을 좋아한다.
- 술 마신 다음 날 해장술을 마신다.
- 취기가 오르면 술을 계속 마시고 싶은 생각이 지배적이다.
- 술을 마시고 싶은 충동을 거의 참을 수가 없다.
- 최근에 취중의 일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6개월에 2회 이상).
- 대인관계나 사회생활에 술이 해로웠다고 느낀다.
- 술로 인해 직장일에 상당한 지장이 있다.
- 술로 인해 배우자(보호자)가 나를 떠났거나 떠난다고 위협한다.
- 술이 깨면 진땀, 손떨림, 불안이나 좌절 혹은 불면을 경험한다.
- 술이 깨면서 공포(섬망)나 몸이 심하게 떨리는 것을 경험하거나, 헛것을 보거나 헛소리를 들은 적이 있다.
- 술로 인해 생긴 문제로 치료받은 적이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