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DLS로 대표되는 파생결합증권은 2007년 26조9000억, 2008년 21조9000억, 2009년 14조6000억, 2010년 32조7000억, 2011년 48조1000억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시점을 제외하고는 연평균 15.7%씩 꾸준히 성장해 왔다.
특히, DLS시장은 2007년 1조1000억, 2008년 1조3000억, 2009년 2조8000억, 2010년 7조7000억, 2011년 13조로 연평균 216%, 5년 새에 무려 12배에 이르는 성장을 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으로 성장해온 파생결합증권 시장에서 KDB대우증권은 ELS의 경우 지난 2008년 이후 줄곧 발행규모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DLS 역시 성장을 거듭해 2012년 현재 1위로 올라섰다.
KDB대우증권의 1~2월 발행된 ELS를 살펴보면 원금보장형과 비보장형의 비율이 각각 30%와 70%를 차지했으며 기초자산의 경우 지수형 86% 개별 종목형이 14%로 파악됐다. 일반 Retail 투자 고객의 선호도 분석 결과 원금비보장형이 89%, 원금보장형이 11%로 주로 원금 비보장형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으며, 기초자산의 경우 지수형이 56%, 개별종목 형이 44%로, 투자자는 근소한 차이로 지수형을 선호한 것으로 분석됐다.
KDB대우증권 파생상품영업부 이정환 부장은 “최근 증시의 상승세와 유럽시장의 안정화, 미국 경제 회복 가능성 등 주변 여건이 호조됐고, 기존 발행된 ELS의 조기상환 물량이 확대되면서 시장 전체적인 발행규모가 증가했다” 며 “특히 상승 장에서 소외된 주식 위주의 종목형 ELS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수형 ELS의 경우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