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관위가 8일 정보공개청구에 따라 공개한 '2011년 300만원 초과 기부자 명단'에 따르면 직업이나 주소, 연락처 등을 제대로 기입하지 않은 경우가 적잖게 발생했다.
연간 300만원 초과 기부자는 이름과 생년월일, 주소, 직업, 전화번호 등 인적사항을 기재해야 함에도 300만원 초과 기부 2309건 중 직업을 기재하지 않은 경우가 18건(0.8%) 있었다.
이 비율은 2004년 20.6%에서 2005년 8.3%, 2006년 5.2%, 2007년 1.8%, 2008년 0.9%, 2009년 3.2%, 2010년 0.4% 등으로 감소추세이긴 하다.
직업을 밝히더라도 자영업, 회사원이라고 표현해 구체적인 직업을 알 수 없는 경우가 각각 419건, 393건이었고, 사업·사업가 301건, 기업가·기업인 47건, 대표·대표이사 32건 등이었다.
주소를 기재하지 않은 경우가 16건이었고, 전화번호를 표시하지 않은 사례가 7건이었다. 생년월일을 입력하지 않은 사례도 1건 있었다.
이름만 공개하고 생년월일, 주소, 전화번호, 직업을 아예 기재하지 않아 사실상 기부자의 신원을 확인할 방법이 전혀 없는 경우는 1건이었다.
지방의원이 국회의원에게 기부금을 내는 일도 여전했다.
부산 연제구의원 5명은 새누리당 박대해 의원에게 각각 500만원의 후원금을 기부했다.
수원 시의원 1명은 새누리당 정미경 의원에게, 고양 시의원 1명은 새누리당 김영선 의원에게 각각 500만원을 후원했다.
민주통합당 신낙균 의원의 한 비서관은 신 의원에게 350만원의 후원금을 냈다.
지방의원들이 후원금을 내는 것은 지방선거 공천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현역 국회의원들에게 '보험'을 들고자 하는 게 아니냐는 곱지않은 시선도 있다.
국회의원이 동료 국회의원에게 후원금을 내는 '품앗이' 기부도 적지 않았다.
새누리당의 경우 고승덕 의원이 이두아 의원에게, 이은재 의원이 이범래 의원에게 500만원을 각각 후원했다. 김정권 의원은 자신에게 500만원을 기부했다. 주호영 의원은 무소속 김성식 의원에게 500만원의 후원금을 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