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지난달까지 1년 동안 서울 강남·서초·송파구에서 분양된 11개 아파트 중 7개 단지가 1~3순위 안에서 청약마감됐다.
이 중 5개 단지가 1순위 청약접수에서 모집가구 수를 모두 채웠다. 이들 11개 단지에서 나온 일반분양 물량은 총 1315가구로 여기에 3369명이 신청해 평균 2.5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심지어 높은 분양가를 내세웠던 강남구 도곡동의 래미안 도곡 진달래와 서초구 방배동의 방배 롯데캐슬 아르떼도 잇따라 순위 내 청약마감에 성공했다.
그러나 분양 아파트와는 달리 강남의 기존 아파트 매매값은 나날이 추락 일변도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 조사결과 3월 둘째주 현재 강남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해 말보다 1.26% 떨어져 서울에서 가장 큰 폭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송파구가 1.09%, 서초구가 0.66% 각각 하락해 강남구의 뒤를 이어 하락률 2·3위를 기록했다.
이같은 강남 기존 아파트값 하락세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정성과 서울시 재건축·재개발 정책의 기조 변화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서울시가 지난 1월 말 뉴타운 출구전략을 발표한 데 이어 강남의 주요 재건축 단지에 대해 용적률 상향 보류, 소형주택 비율 확대 등을 요구한 이후 가격 하락폭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강남 3구 재건축 아파트의 3.3㎡당 평균 가격은 작년 4분기 3209만원에서 올해 2월 3162만원으로 떨어져 3000만원선까지 위협받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최근 강남권 분양시장의 호성적은 이 지역 주택경기가 회복세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지역적 특성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임병철 부동산114 팀장은 "올해 분양이 잘된 방배동과 도곡동은 최근 2~3년 동안 공급이 없었던 곳"이라며 "강남의 새 아파트에서 살고 싶어하는 수요자들이 몰렸을 뿐 전반적인 강남의 부동산 시장이 회복됐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