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관절염은 관절을 감싸고 있는 연골이 손상되면서 관절이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질환으로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한다.
200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골관절염 환자는 만 65세 이상에서 37.8%에 달한다.
현재 골관절염약은 통증이 있는 관절에 직접 바르거나 부착하는 국소외용제(크림제, 파스류 등)와 먹는 약물, 관절 내에 주사하는 관절내 주사제 등이 있다.
국소외용제로는 케토프로펜과 디클로페낙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캡사이신 등이 사용된다.
이 의약품을 사용할 때는 눈이나 점막 부위, 상처가 있는 피부에는 사용해선 안된다.
사용 후 피부 발진이나 두드러기 등이 나타난 경우에는 즉각 사용을 중지한다.
케토프로펜 제제는 햇빛이나 자외선에 의해 피부에 두드러기, 물집, 발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외출 시 약을 바른 부위는 옷이나 자외선 차단제 등으로 가린다.
먹는 약에는 아세트아미노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쎄레콕시브(COX-2 선택적 저해제) 등이 있다.
이 약들은 복용시 구역나 구토, 변비, 식욕부진 등 위장관계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반드시 식사를 한 후에 복용한다.
식후 30분 이내에 복용하면 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두 가지 이상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를 병용투여하는 것은 효과에 비해 부작용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관절내 주사제에는 트리암시놀론 등과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히알루론산나트륨 등의 성분이 있다.
주사제는 투여 후 관절을 움직이는 운동이나 관절에 무리를 주는 자세 등은 피하고 충분한 휴식기간을 가져야 한다.
식약청 관계자는 “골관절염 치료 약물은 종류가 다양하고 개인에 따라 약물 반응과 부작용에 차이가 날 수 있는 만큼 의사·약사의 상담을 받고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약물요법과 함께 식이요법, 운동, 체중조절 등과 같은 생활요법을 반드시 병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