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G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양산에 돌입한 6인치 플라스틱 전자종이를 한 손에 잡고 힘껏 구부린 모습. 유리 전자종이와는 달리 떨어뜨리거나 구부려도 문제가 없는 것이 장점이다. |
LG디스플레이는 29일 세계최초로 유리 대신 플라스틱을 사용한 전자잉크(E-Ink) 기반의 1024x768 XGA급 해상도에 6인치 크기의 전자종이(EPD) 양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양산에 들어가는 플라스틱 전자종이는 고열에 내구성이 강하고 두께는 휴대폰 보호필름 수준에 불과한 플라스틱 기판을 채용해, 같은 크기와 해상도의 유리 전자종이 패널과 비교할 때, 두께는 3분의 1 이상 얇아진 0.7mm의 슈퍼슬림을 실현했으며, 무게는 절반 이상 가벼워진 14g에 불과하다.
LG디스플레이는 전자 책 사용자 중 10% 정도가 실수로 떨어뜨리거나 부딪혀 화면에 손상을 입혀 본 경험이 있다는 점에 주목, 더 가볍고 얇으면서도 깨지지 않는 제품을 개발했다.
열에 약한 플라스틱에 기존의 생산공정을 적용하기 어려웠으나 지난 2010년부터 2년에 걸쳐 일반 LCD 패널 제조에 적용되는 350도 이상의 고온 TFT 공정을 플라스틱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독자 기술을 개발해 양산에 성공할 수 있었다.
이번에 양산하는 플라스틱 전자종이는 중국의 제조자개발생산(ODM) 전문 업체에 우선 공급되며, 해당 업체를 통해 완성된 제품은 다음달 초 유럽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제품은 선채로 책을 볼 때의 높이인 1.5m에서 수직낙하 실험 결과 파손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소형 우레탄 해머로 직접 내려치는 실험에서도 화면에 전혀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화면 중앙을 기준으로 40도 내외로 휘어지는 형태의 디자인이 가능해 앞으로 나올 제품들은 한 손에 들고 실제 종이 책을 보는 것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할 전망이다.
플라스틱 전자종이가 스마트패드나 태블릿 등에 비해 피로도가 덜하고, 전력소모가 낮다는 장점에도 불구, 가격 경쟁력 외 장점이 부족하다는 기존의 편견을 깨고, 휴대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전자 책들이 시장에 속속 등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여상덕 LG디스플레이 모바일·OLED 사업본부장 부사장은 “FPR 3D 기술처럼 소비자들이 진정으로 원하고 필요로 하는 기술과 제품을 만들어 내는 것이 LG디스플레이가 추구하는 제품 개발 철학”이라며, “플라스틱 전자종이의 양산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플라스틱 기반의 OLED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개발도 더욱 속도를 높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