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금융당국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적기시정조치를 유예한 저축은행 4곳에 대한 추가검사를 마무리하고, 최종 결과 발표만을 남겨두고 있다. 시기와 관련 오는 5월 초가 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당초 이달 중 저축은행 3차 구조조정 명단이 발표될 것이란 예측이 나왔지만 코앞으로 다가온 총선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에 시기를 조절했다는 분석이다. 총선을 앞두고 퇴출이 결정되면 자칫 ‘뱅크런’ 등 극도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금감원은 검사결과를 토대로 퇴출여부를 결정하는 구조조정 대상을 조율한 뒤 다음 주 정도에 적기시정조치 대상 사전통지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후 2주간의 이의신청기간을 갖고 저축은행들은 경영개선계획을 제출하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제출받은 경영개선계획을 토대로 경영평가위원회를 열어 개선 가능성을 확인한 후 금융위를 열어 최종 결정하게 된다. 이를 감안할 때 최종 살생부 발표는 5월 초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영업정지 유예 저축은행의 퇴출 규모가 당초 예상보다 커질 수 있는 상황이다. 당초 업계에서는 최소 1~2곳 정도의 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3곳 이상이 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현재 금융당국은 저축은행들이 제출한 자구계획의 실행 여부를 두고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저축은행들의 경영개선 작업이 여의치 않다”면서 “앞으로 자구노력 이행실적과 경영상태 점검 등의 절차를 거쳐 구조조정 명단을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켜보는 저축은행 업계는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 대형저축은행 관계자는 “지난주까지 경영평가위위원회 예고 통보를 받지 못했다. 만약 이번 주에도 경평위 대비 통보가 없다면 5월로 넘어가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저축은행 사태를 야기한 금융당국도 책임을 면피하기 위해선 고심을 거듭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전망 또한 갈수록 오리무중이어서 긴장감을 늦출 수도 없다”고 말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