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총선에서 한 지역구에 출마한 후보의 정책 보좌관이 상대 진영에서 네거티브 공세를 펼치자 기자에게 한 말이다.
이 보좌관은 이같이 말하며 "비방전으로 가는 것보다 깨끗한 선거 문화를 위해 정책으로만 상대하겠다"면서 상대 후보 정책의 잘못된 점을 꼬집었다.
선거가 코 앞으로 다가오면서 선거 캠프 간 네거티브 공세가 집중되고 있지만, 이 같은 비방전은 지역 주민에게 아무런 이익이 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매번 선거 때마다 흑색선전에 가려 정책은 보이지 않았고, 이러한 네거티브 공방과 고소·고발의 난무에 지역 주민들은 정치염증까지 느끼고 있다.
선거가 정책 대신 네거티브로 변질되는 이유는 후보들의 선거 준비가 미흡하기 때문이다. 한 후보는 지역토론회 녹화 하루 전날, 공약집에도 없던 정책을 새로 끼워 넣었다고 한다.
다행히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코리아리서치센터가 실시한 전화면접 조사에 따르면 후보자 선택 기준이 △정책.공약(38.1%) △인물.능력(24.8%) △소속 정당(16.5%) △주위평가(7.3%) △정치경력(4.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많은 유권자들은 "우리 지역은 분명히 한쪽 성향이 강하지만 '정책'을 보고 투표하겠다"고 말한 것은 이를 방증한다.
시민들의 교육정도와 의식수준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기에 각 캠프의 의혹제기에 대해 유권자들이 그대로 믿지 않는다는 점을 각 후보 캠프는 알아야 한다. 오히려 공격한 쪽이 이미지 추락과 시민들의 정치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도 감수해야 할 것이다.
유권자들은 "난 무조건 ○번을 찍을거야" 식의 생각보다는 각 후보의 정책을 확인하고, 자신들의 지역을 위해 이 후보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길 바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