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선거 활동에서 조금씩 목소리에 힘을 빼며 유권자들의 선택을 기다리려는 모습인 반면, 민주통합당은 막판까지 전·현 지도부가 총출동해 전면전을 벌이는 양상이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최근 새누리당 후보들의 유세활동에선 확성기 유세가 사라졌다. 이는 유세 소음에 주민들의 민원이 빗발칠 경우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새누리당 내부적으로는 수도권과 충청·강원지역에서 완패만 하지 않으면 원내 1당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과도한 유세활동은 자제하고 있다.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도 지난달 29일 공식 유세전 시작과 함께 수도권에서만 16개의 일정을 소화하는 등 전국을 무대로 유세활동을 벌여왔으나, 9일부턴 공식 유세활동을 10개 안팎으로 조절하는 모습이다.
새누리당은 지난 2월까지만 해도 원내 120석도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천안함 2주기와 북한의 도발 등에 따른 안보이슈의 부각과 민주통합당 측 후보의 도덕성 문제 등을 걸고 넘어지며 정국 주도권을 장악, 총선의 승기를 잡았다는 분위기다.
특히 야권 성향의 숨은표가 결집하며 투표장에 등장할 경우 선거 판세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에 조금씩 몸사리기에 들어간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총선 패배의 위기에 몰린 민주통합당은 9일 자정을 기해 ‘48시간 불꽃유세’에 돌입하는 등 막판 세몰이에 돌입했다. 60~70곳 정도에서 접전 중인 수도권에서 최대한 많은 의석을 차지해야 새누리와 1 대 1 구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한 대표는 남은 이틀 동안 50여곳을 샅샅이 훑는 '저인망식 유세'를 통해 바닥 표심을 자극할 계획이다.
민주통합당은 특히 선거의 승패를 결정짓는 최대의 변수를 투표율이라고 보고 ‘투표율 높이기’에 사활을 걸었다.
박선숙 사무총장은 기자간담회에서 “60% 이상 투표율이 돼야 접전지에서 야권 후보가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이를 위해 민주통합당은 이날 오전 연세대 정문 앞에서 ‘청년 투표참여 캠페인’을 열었다. 이 자리에는 멘토단으로 활동하고 있는 작가 공지영씨와 서울대 조국 교수도 참여했다.
한 대표는 “투표하면 자신의 꿈이 이뤄지고 자신의 생활에 희망찬 변화가 생기고, 자신의 주권을 행사할 수 있다”며 “표가 여러분의 삶을 지켜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