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B가 13일 발표한 `아시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따르면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3.4%로 정부(3.7%)와 국제통화기금(IMF)의 3.5%보다는 낮다.
아시아 45개 개발도상국은 작년 7.2%에서 올해 6.9%, 내년 7.3%를 기록, 유럽 재정위기와 미국ㆍ유럽ㆍ일본 경기 부진에도 아시아 개도국은 내수에 힘입어 튼튼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작년 9.2%에서 올해 8.5%, 내년 8.7%를 기록하고 인도는 각각 6.9%, 7.0%, 7.5%의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ADB는 아시아 국가들에 상품가격 변동성이 있지만 인플레이션 압력이 낮아져 2011년 5.9%인 물가상승률은 올해 4.6%, 내년 4.4%로 내려갈 것으로 내다봤다.
ADB는 이와 함께 아시아 국가들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려면 수출구조 다변화, 국가 간 자본이동 모니터링, 내수확대, 건전재정정책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ADB는 “아시아는 남미보다 불평등도가 낮지만 경제성장과 함께 지역ㆍ계층 간 소득 불평등과 국가 간 불평등도가 커졌다”고 지적했다.
특히 ADB는 최근 아프리카ㆍ중남미에서 불평등도가 완화하는데 아시아 개도국은 오히려 높아지는 추세라고 우려했다. 원인으로는 세계화와 시장친화적인 개혁을 꼽았다.
불평등 증가의 25~35%는 ’교육 불평등‘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대부분 아시아 국가에서 상위 5%가 전체 지출의 17~22%를 차지한다.
ADB는 아시아 개도국에 교육ㆍ인프라ㆍ사회안전망에 투자하고 조세기반을 튼튼히 하라고 제언했다.
중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국경 내 노동이동 제한을 풀고 발전이 덜 된 지역에 재정지원을 늘려 지역 성장거점을 만들라는 대책도 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