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요미우리 신문 보도를 보면 이 연구소는 일본과 세계 50개 국가·지역의 2050년까지의 장기 경제 예측을 발표했다. 연구소는 인구와 저축 및 투자 동향, 생산성 변화 등을 바탕으로 일본 경제의 성장률과 경제 규모 등을 산출했다. 그 결과 일본은 저출산 고령화가 심화돼 2030년대 이후부터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돼 효과적 성장 전략을 취하지 않으면 선진국에서 탈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일본의 생산성이 다른 선진국과 같은 수준을 유지하는 ‘기준 시나리오’에서는 2030년대부터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이러면 2041∼2050년의 성장률은 연평균 마이너스 0.47%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이때 일본의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미국과 중국의 약 6분의 1 수준으로 떨어져 현재 세계 3위에서 4위가 될 전망이다. 1인당 GDP는 세계 18위로 한국(14위)보다 뒤처진다.
여성의 취업률이 북유럽처럼 높아지는 ‘노동력 개선 시나리오’에서는 GDP 성장률이 2031∼2040년엔 연평균 마이너스 0.17%, 2041∼2050년엔 마이너스 0.46%가 될 전망이다.
정부 부채가 팽창하면서 성장이 위축하는 ‘비관 시나리오’에서는 성장률이 2010년대에 마이너스로 전환, 2041∼2050년에는 연평균 마이너스 1.32%로 추락할 전망이다. 이로써 GDP 규모는 세계 9위로 하락해 중국과 미국의 약 8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할 예상이다.
생산성이 1990∼2010년대 수준을 유지하는 ‘잃어버린 20년 시나리오’에서 2041∼2050년 성장률은 연평균 마이너스 0.86%로 예측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