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올 1분기 DLS 발행액은 전기 대비 51.9% 증가한 5조5134억원이다. 작년 2분기 2조원대를 넘어선 이후 올해 1분기 최초로 5조원을 돌파했다.
예탁원측은 “최근 국제유가상승과 유동성 확대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코스피가 보합세를 장기간 유지함에 따라 투자 대상이 다양해 졌다”며 “그 결과 다소 안정적인 수익이 기대되는 대안투자처로 DLS가 선호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발행방식별 DLS 발행 실적을 살펴보면 사모 DLS 발행은 5조1407억원으로 전체 발행금액의 93.2%를 차지했다. 공모 DLS는 3727억원으로 6.8%를 차지했다.
원금보전형태별로 DLS 발행실적을 살펴보면 전액보전형이 전체 발행액의 67.3%로 3조7084억원을 기록했다. 비보전형은 32.7%로 1조8050억원을 기록했다.
원금비보장형 위주로 발행되는 주가연계증권(ELS)와 달리, DLS의 경우 투자자들은 시중금리 ‘플러스 알파’의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원금보장형을 선호했다.
기초자산별 DLS 발행 실적을 살펴보면 금리형상품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DLS가 76.4%를 차지했고,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DLS가 17.7%를 차지했다.
증권사별로 DLS 발행금액은 대우증권이 1조3348억원으로 24.2%를 차지했고, 우리투자증권이 1조2471억원으로 22.6%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어 현대증권, 하나대투증권, NH농협증권 순으로 나타났다.
1분기 DLS 상환액은 3조9404억원으로 대부분 만기에 상환(76.8%)되고 있고, 만기전 수익실현 달성을 보여주는 조기상환 금액이 전분기 대비 큰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