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배추 사재기 중국산 배추 수입으로 막는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4-16 17:2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정우 기자) ‘식탁물가’의 주범인 배추값이 수급 불안으로 들썩이고 있는 가운데 배추 유통업자들이 상당량을 사재기해서 가격급등의 악순환이 거듭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정부가 중국산 배추 수입에 나서고 있는 것도 일시적인 수급 조절은 물론 유통업자들의 사재기를 방지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16일 농식품부의 한 관계자는 “생산액 대비 출하량을 계산했을 때 올 2월에 생산된 배추 약 3만여t 가량의 행방이 묘연하다”면서 “이들 배추가 유통업자들의 창고에 저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배추 소비량이 하루 1800t임을 감안할 때 3만t은 약 2주간의 배추 공급 물량에 해당하는 엄청난 양이다.

최근 배추값이 상승함에 따라 매입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에 배추를 되팔기 위한 유통업자 들의 ‘입도선매’가 배추값 상승의 원인이라는 게 농식품부 측의 설명이다.

결국 정부는 비축했던 배추의 재고 물량 부족으로 가격 상승이 우려되면서 최근 중국산 배추를 수입, 배추가격 상승과 물량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규모 김치업체에 공급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 같은 정부 방침이 나오자 채소농가들이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농민들이 반발하는 것은 현재의 배추값 상승과 재고 부족 현상이 일시적인 상황인데도 정부가 중국산 배추를 수입해 국내 배추가격 폭락을 유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 채송재배 농민은 “배추값이 봄 출하시기 전에 맞춰 반짝 올랐다가 출하와 동시에 물량이 풀리면서 떨어질 것”이라며 “가격 조정기를 거치고 있는 시점에서 굳이 중국산 배추를 수입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곧 봄배추가 쏟아져 나오는 마당에 수입부터 강행하는 것은 잘못됐다. 정부는 보다 정책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비판했다.

농민들의 반발을 정부가 예측하지 못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부작용을 고려하면서까지 정부가 중국산 배추 수입에 나선 것은 유통업자들의 물량을 끌어내 배추값 폭등의 악순환 고리를 끊겠다는 전략 성격이 짙다.

농민들의 반발에 대해 이천일 농식품부 유통정책관은 "중국산 배추 수입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한다면 그 피해는 배추를 비축해 놓은 유통업자들의 몫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정책관은 이어 “중국산 배추 수입으로 인한 배추가격 하락의 기대치가 현재 창고에 저장된 물량을 시장으로 끌어낼 것으로 본다”면서 “조준했던 효과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배추의 저장 기간이 2~3개월임을 감안하면 늦어도 보름 후쯤에는 저장된 물량이 시장에 나와 배추값이 안정세에 접어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농식품부의 자료에 따르면 배추 한포기 도매값은 지난 3월 상순 2330원에서 3월 하순에는 2751원, 4월 상순에는 3120원을 기록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정부는 최근 중국 산동성 일대에서 생산되는 배추 2000t을 우선 계약, 이 중 500t을 수입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