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재건마을 위치도 |
서울시는 강남구 개포동 1266번지(포이동 266)일대에 위치한 재건마을이 SH공사 주도로 공영개발된다고 23일 밝혔다.
시는 사업 부진 시 현지 거주민들의 주거대책 미비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이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SH공사 주도의 공영개발로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를 위해 시·구·SH공사로 구성된 TF팀 및 협의체를 구성해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정비 방안에 따라 재건마을 1만2632㎡에 총 316가구가 건립된다. 장기전세주택이 234가구, 국민임대주택이 82가구다.
시는 현재 재건마을에 거주하고 있는 82가구 170명 모두 임대주택에 재정착할 수 있게 돼 현지 거주민의 주거권이 보장됐다고 강조했다.
특히 시는 주택건설사업이 진행되는 동안 이미 건설된 SH공사 임대 공가에 우선 입주했다가 주민이 원하면 다시 당해 부지에 준공된 임대주택에 입주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기존에는 공익사업으로 인한 철거민들이 한 번 임대주택에 입주하면 다른 임대주택으로 이주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시는 현 거주민의 주민등록을 바탕으로 한 실태조사를 통해 현지 거주민들에게 세대수에 따른 규모별 국민임대아파트를 공급하기로 했다.
아울러 시는 저소득 거주민을 위해 폐지를 재활용하는 사회적기업 설립과 문화센터 건립 등에 대해 강남구와 협의 중이다.
구체적인 개발계획(안)은 SH공사에서 마련하고, 서울시에서 관계부서 협의 및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과정을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시는 재건마을 세부개발계획을 수립·완료한 후 내년 2월 중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건기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SH공사 주도의 공영개발로 서울시의 오랜 숙제였던 재건마을이 다시 태어나게 됐다"며 "공정하고 투명한 개발을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