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은 26일 인도네시아에 있는 바이오 현지법인 'PT CJ 인도네시아'가 국내에서 30년 만기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통해 2000억원의 자본확충을 했다고 밝혔다.
신종자본증권은 채권과 주식의 중간 성격을 지닌 증권이다. 채권처럼 일정금리를 주지만 원리금 상환 일정 및 만기를 발행자의 재량으로 연기할 수 있다. 때문에 국제회계기준(IFRS)상 자본으로 분류되어 IFRS 도입 이후 유럽과 아시아에서 활발하게 발행되어 왔다.
국내에서는 은행 및 금융지주회사에서 재무건전성 강화를 위해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해 왔으나 일반 기업이 발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신종자본증권 발행에는 BNP Paribas 증권이 단독 주관사로 참여했다. PT CJ Indonesia가 발행사가 되어 아리랑본드(해외기업이 국내에서 발행하는 원화이표채) 형식으로 발행됐다. 발행금리는 5.77%다.
CJ제일제당은 한국 비금융기업 최초로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는데 성공함에 따라 기존의 저금리 조달과 더불어 기존주주 지분율 희석 없이 자본확충을 통한 재무건전성까지 확보하게 됐다. CJ제일제당은 지난해 6월 딤섬본드(홍콩에서 발행되는 위완화 표시채권)를 한국 최초 발행한데 이어 올해 4월 미국 면세채권을 발행하여, 기록적인 저금리 조달을 연이어 성공시켜왔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신종자본증권 발행 자금은 현지법인의 운전자금 및 일부 차입금 상환 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CJ제일제당은 미국 아이오와 주에 연간 10만t 규모의 라이신 생산 공장과 말레이시아 테렝가누주(州) 컬티 지역에 연간 8만t 규모의 메치오닌 생산 공장을 각각 건설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