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 위원장은 30일 서울역삼 노보텔앰버서더호텔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사회적 양극화가 심각한 시기에 일을 맡게 돼 무거운 책임을 느낀다"며 "대기업 성장둔화와 중소기업 이익정체로 인한 일자리 문제, 편중된 부에 따른 양극화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동반성장"이라고 밝혔다.
2기 동반위를 이끌 유 위원장은 "동반위를 갈등·분열하는 장이 아닌 소통·협의하는 장으로 만들겠다"며 "각계각층으로부터 합의를 얻는 게 어렵더라도 소통·협의를 통해 동반성장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동반성장을 이유로 기업에만 희생을 강요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유 위원장은 "기업현장을 찾아 최대한 의견을 수렴해 동반성장을 위한 최대공약수를 찾을 것"이라며 "산업별로 내재된 문제를 해결할 공정한 룰을 통해 시장질서를 회복하고 동반성장 체감도를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가장 큰 논란을 낳았던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해서도 탄력적인 입장을 밝혔다.
유 위원장은 "초과이익공유제는 확실한 합의 개념이 나오기 전 작명부터 한 사례"라며 "성과공유제나 협력이익배분제가 현실적으로 접근 가능성이 높지 않나 생각된다"고 말했다.
용어설정도 확실한 콘텐츠를 도출할 수 있는 바탕 위에서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동반위 측은 유 위원장에 대해 사회지도급 인사 가운데 관계기관 추천을 받아 전국경제인연합회·중소기업중앙회로부터 추대를 거쳤다고 설명했다. 경제전문가로서 동반위를 이끌 적임자라는 평가다.
유 위원장은 1941년생으로 경기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미국 UCLA대학원·텍사스A&M대학원에서 각각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중소기업중앙회 기업정책분야 자문위원, 이화여대 명예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