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일가스란 진흙퇴적암층인 셰일층에 존재하는 천연가스다. 전통적인 가스는 셰일층에서 생성된 뒤 암석의 가스 투과도에 따라 오랜 세월 동안 지표면 방향으로 올라온다. 채취기술의 발전으로 북미지역에서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최근 미국 천연가스 가격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셰일가스 개발 본격화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민관 합동의 셰일가스 테스크포스(TF)를 발족했다고 14일 밝혔다.
지경부는 이날 오후 2시 대회의실에서 조석 제2차관 주재로 산업계, 학계, 연구계 전문가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셰일가스 TF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조석 차관은 이 자리에서 "셰일가스가 중장기 에너지산업의 판도를 바꿀 전 세계적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천연가스 황금기 도래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셰일가스 TF는 총 5개 분과로 구성·운영된다. 개발분과 및 도입분과는 셰일가스의 개발동향 및 전망, 국내 도입전략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발전분과는 발전단가 및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고려한 중장기 발전설비 확충방향 등에 대해 검토하게 된다.
산업분과는 국내 석유화학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석유화학기업의 해외진출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게 되며, 총괄분과는 각 분과별 내용을 조율하고 종합적인 전략을 제시하는 역할을 맡는다.
지경부는 오는 6월 말 TF 분과별 토의내용을 종합해 공개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또 TF 운영이 종료되는 8월 말에는 셰일가스 개발, 도입은 물론 발전, 석유화학산업 분야에 대한 파급효과까지 고려한 종합 대응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