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사람인이 최근 기업 인사담당자 155명을 대상으로 핵심인재 유출 경험 여부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58.7%가 ‘있다’고 답했다고 14일 밝혔다.
업종별로는 건설이 80%로 가장 높았으며 정보통신/IT 73.1%, 자동차/운수 71.4%로 상대적으로 많았다.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금융/보험(57.1%), 제조(56.8%), 유통/무역(55.6%)에서도 절반 이상이 경험을 갖고 있었다.
유출된 핵심 인재 중 74.7%는 경쟁사로 자리를 옮겼다고 답했다.
유출은 대리급(41.8%)이나 과장급(36.3%)에서 많이 이뤄졌다. 평사원급(11%), 부장(9.9%), 임원진(1.1%)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인사담당자들은 유출의 가장 큰 원인으로 낮은 연봉을 꼽았다. 52.7%(복수응답)가 이같이 답했다. 기업 비전(22.0%), 진급 및 평가(18.7%), 조직 문화(18.7%), 복리후생(17.6%), 근무 환경(12.1%), 업무 내용(12.1%) 등 응답도 있었다.
이들 대부분(96.7%)은 핵심인재 유출로 손실을 입었다고 답했다. 업무 공백(69.3%ㆍ복수응답), 인력충원 비용(45.5%), 직원 사기저하 및 연쇄 이탈(44.3%), 업무 노하우 유출(37.5%), 업무 분위기 흐림(36.4%), 기업 핵심정보 유출(21.6%) 등을 손실로 꼽았다.
기업 81.3%는 핵심인재 유출을 막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했다. 조직 내 유대관계 강화(73.0%ㆍ복수응답), 연봉인상(67.6%), 인센티브(63.5%), 복리후생(45.9%), 근무환경 개선(44.6%), 업무 자율성 및 독립성 보장(36.5%), 체계적 인사평가(32.4%) 등이 있었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핵심인재는 기업 경쟁력으로 직결되는 만큼, 채용은 물론 장기근속을 위한 체계적 관리가 중요하다. 이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교육은 물론 조직 비전 공유 및 직원 소통 강화 등 다각도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