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박계 중 유일하게 지도부에 입성한 심재철 최고위원은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이날 최고위에서 당 사무처 차원에서의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참여경선제) 도입 검토를 요구하면서 포문을 열었다. 심 최고위원은 간단한 상견례만 하던 첫 회의 관행을 깨고 작심한 듯 발언을 이어 나갔다.
그는 “황우여 대표가 어제 당선 직후 기자회견을 통해 ‘오픈프라이머리를 한다 안 한다 결정되지 않았다. 여러 문제가 없는지 사전에 충분히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는데 저도 마찬가지”라면서 “당 사무처에서 이 제도의 장단점을 검토해 좀 하는 게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오픈프라이머리는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제외한 정몽준·김문수·이재오·임태희 등 비박계 대선주자들이 요구하고 있는 사안이다. 현행대로라면 8월말∼9월초로 예정된 경선은 대의원 선거인단 80%(대의원 20%, 당원 30%, 일반국민 30%)와 여론조사 20%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치러진다.
친박계 최고위원들이 즉각 반박에 나섰다. 정우택 최고위원은 “이것은 정말 우리가 아름다운 전례도 있지만 경선 휴우증이 없고 분열이 없으려면 경선 룰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면서 “아까 오픈 프라이머리 실무 검토를 이야기했는데, 이야기를 차단하는 것은 찬성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가 쉽지 않은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공식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 놓고 실무 검토를 해 나가는 것은 조금 문제가 있다. 내부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의미가 있지만 공식적으로 당 지도부에서 실무 검토를 시키고 공식화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친박계 중에서도 강성으로 꼽히는 유기준 최고위원도 “대선 후보를 선출해야 할 시점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입장을 조율하기 위해서 손을 대고 바꿔야 한다면 논의 과정이 논란이 많고 우리당의 좋지 않은 모습이 나타나면서 국민이 하나되는 새로운 세상, 국민만 바라보겠다는 당의 모습과는 동떨어진 모습이 될수 있다”면서 “경선 룰을 의논하더라도 그런 모습이 재현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우려감을 나타냈다.
이날 공식적인 발언은 하지 않았지만 이혜훈 최고위원이나 이한구 원내대표 역시 각종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수차례 부정적인 견해를 밝혀 왔다.
한편 전당대회 직전까지 시간이 촉박하다는 이유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다소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던 황 대표는 비공개 회의에서 “당에서 심도있게 검토하겠다. 경선까지 시간이 없으니 가능한 빨리 결론을 내겠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