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계획을 수립하고 조례 제정, 공공용어 순화시스템 구축 등의 사업을 펼친다고 31일 밝혔다.
시는 ‘서울시 행정용어순화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잡상인’을 ‘이동상인’으로, ‘좋은 하루 되세요’를 ‘좋은 하루 보내세요’로 바꾸는 등 비하·부정적 의미를 갖고 있거나 어법에 맞지 않는 표현을 퇴출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 지하철 역사와 차량 내에 붙어 있는 안내문과 안내방송 등에서 잡상인은 이동상인으로 대체돼 사용된다.
또한 아직도 일부 사용되고 있는 ‘좋은 하루 되세요!’라는 문장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로 바꾸기로 했다.
‘시민고객’이라는 용어도 완전히 퇴출할 예정이다.
시는 작년 11월 국립국어원·한글학회 등 10개 전문기관과 ‘서울시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업무협약’을 맺었으며 올해 초부터 ‘시민고객담당관’을 ‘시민봉사담당관’으로 바꾸고 민원 응대시 ‘시민님’으로 부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