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지난 6일 여수세계박람회 방문 후 기자들과 만나 "건설업과 관련해 유동성을 지원하는 등 종합적인 지원대책을 만들 것"이라며 "늦어도 다음 달 중 방안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하반기 경기 침체 여파로 기업들의 경영난이 예상되는 가운데 중소건설업을 시작으로 조기에 유동성을 지원하겠다는 의미다.
김 위원장은 "(은행들이) 나만 살겠다고 나 몰라라 하는 것은 안 된다”며 “그간 어떻게 운용해왔는지 살펴본 뒤 가이드라인을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은행들이 일시적인 유동성 위기에 놓인 건설사 지원을 떠넘기다, 회생이 가능했던 회사가 결국 파산에 이르는 상황을 가리킨 것이다.
그는 현재 실무진에 조기 지원을 늘릴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을 주문한 상태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6일 중견건설사인 삼환기업과 삼환까뮤, 세광조선 등을 포함한 구조조정 대상 기업 36개사를 발표했다. 이들 기업은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작업)이나 법정관리(기업 회생 절차)에 들어가야 한다.
한편 이날 김 위원장은 우리금융지주 매각과 관련해 "(우리금융을) 파는 건 정부가 결정하지만 누가 어떤 형태로 인수합병(M&A)을 하는지 등은 시장에 온전히 맡길 것”이라며 “어떤 회사가 어떤 형태로 들어오든 그것은 시장과 산업이 판단할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금감원이 추진 중인 은행 프리워크아웃 등 가계부채 대책과 관련해선 “도덕적 해이(모럴해저드)를 일으키면 큰일"이라며 "아무도 빚을 안 갚으려고 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