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 뚝 떨어진 아파트, 경매 내놔도 빚도 못 갚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7-09 18:1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채권자 미회수 금액 6월 723억원으로 최고 수준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 # 서울 서초구 방배동에 있는 S아파트(전용 175㎡). 이 아파트가 지난 3월 감정가 14억5000만원에 경매 매물로 나왔다. 하지만 2회 유찰 후 지난 4일 10억원(감정가 대비 68.9%)에 낙찰됐다. 이 아파트 채권자는 K은행이다. 청구금액은 약 14억2000만원으로 낙찰대금을 모두 다 받는다고 해도 4억2000만원이 부족하다.

대출이자 부담을 견디지 못한 아파트들이 속속 경매로 넘어가는 가운데 돈을 빌려준 금융권 등 채권자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다. 주택경기 침체로 경매시장에서 아파트가 찬밥 신세가 되면서 실제로 받는 돈이 채무액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서다.

집주인은 아파트를 잃고도 빚이 남아 있고, 채권자는 채권자대로 받을 돈을 다 돌려받지 못하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9일 경매업계에 따르면 집값 하락으로 아파트를 경매처분해도 빚을 갚지 못하는 '깡통 아파트'가 속출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되면 채무자는 살던 집을 경매에 넘기고도 '빚쟁이' 딱지를 떼지 못해 신용회복이 어렵고, 은행 등 채권자는 회수하지 못한 빚 부담을 떠맡아 부실화될 우려가 커진다.

이 같은 미회수 금액은 지난해 1월 273억8000만원, 올해 1월에만 해도 274억3000만원 수준이었다. 그러다가 4월 310억원으로 증가하더니 5월 362억3000만원, 6월 623억7000만원으로 급등세다. 올 상반기 미회수 금액은 총 2126억2000만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1736억8000만원보다 389억4000만원 많다.

이처럼 경매시장에서 미회수 금액이 늘어나는 이유는 최근 지속적인 아파트값 하락이 원인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국민은행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서울·수도권 아파트값은 0.7% 올랐다. 하지만 장기침체로 상승여력이 동난 올 상반기에는 1.2%나 떨어졌다.

특히 금융위기 이전 아파트값 상승세를 주도했던 강남권은 다른 지역보다 낙폭이 더 크다.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7월 현재 강남3구(깅남·서초·송파구)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9억4535만원으로 올 들어서만 10.6% 하락했다.

하유정 지지옥션 연구원은 "금융위기 전 높은 감정가를 받았던 아파트의 가격이 떨어지면서 낙찰가도 덩달아 하락해 청구금액에 미치지 못하는 깡통 아파트가 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매시장에서 수요자들의 보수적인 접근도 아파트 낙찰가 하락에 한몫 하고 있다.

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최근 경매법정에서는 신건이 낙찰되는 사례는 많지 않고 2~3회 유찰돼 값이 싸진 매물에만 응찰자들이 몰리고 있다"며 "2회 이상 유찰 비중이 높아지면서 낙찰가율은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