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서울은 전국에서 가장 크게 부담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주택금융공사(HF)는 지난 3월말 기준 주택구입부담지수(K-HAI)를 조사한 결과 전국 평균 66.8로 지난해 말의 71.8에 비해 5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혔다.
공사에 따르면 K-HAI는 중간소득 가구가 표준대출을 받아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의 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수다. 100을 기준으로 지수가 높을수록 중간소득 가구의 주택구입부담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K-HAI는 지난 2008년 2/4분기 81.8을 기록한 후 꾸준히 고점 아래를 밑돌고 있다. 전반적으로는 하락추세다.
공사는 올 1분기 이 지수가 하락한 이유에 대해 "지난해 말 대비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주택가격은 보합세를 보인 가운데, 도시근로자 중간가구소득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지수가 소폭 상승한 제주 지역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전기 대비 큰 폭으로 하락했다.
특히 서울 지역은 주택가격 하락 등에 따라 전기 대비 7.18% 하락한 118.9로 전국에서 가장 크게 떨어졌다. 서울은 지난 2008년 2분기에 176.9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대전(-7.02%), 경남(-7.01%), 경기(-6.94%), 부산(-6.93%), 인천(-6.92%) 지역도 주택가격이 보합세에 힘입어 전기 대비 크게 낮아졌다. 반면 전기 대비 주택가격이 급격히 상승한 제주(8.33%) 지역의 K-HAI 지수는 전기 대비 0.8% 상승했다.
한편 주택 규모가 커질수록 K-HAI 하락폭이 컸다.
전국을 기준으로 60㎡이하는 6.9%, 60㎡초과~85㎡이하 주택은 6.8%, 85㎡초과~135㎡이하는 6.9%, 135㎡초과 주택은 7.4% 각각 하락했다.
이를 지역별로 보면 서울과 경기지역이 전 평형에서 7% 이상 떨어져 가장 높은 하락률을 보였으며, 특히 인천지역의 135㎡초과 주택은 10% 하락으로 지역별·규모별 비교에서 가장 크게 떨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