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12일 일부 디지털 도어록에 보안상 허점이 드러나 지난달 29일 내렸던 소비자주의보에 따른 후속 조치 결과를 발표했다.
기표원에 따르면 당초 문제가 됐던 디지털 도어록을 비롯한 ‘카드식 출입문잠금장치’ 전반에 걸쳐 관련 사업자들이 소비자 피해 예방차원에서 자발적 리콜 계획을 실시하기로 했다.
자발적 리콜 업체와 관련제품의 수량은 각각 총 17개 업체, 125만개에 달한다. 디지털 도어록이 110만개며 현관개폐기가 15만개다.
업체들은 소비자들에게 피해 예방법을 전하고 시중 제품에 대해 전용카드 보급 및 해당 제품의 프로그램 개선 등 효과적이고 신속한 후속 조치를 하기로 했다.
또 교통카드 및 휴대폰 등록을 해제하고, 전용 카드키를 사용하면 문제가 없다는 사항을 적극 알리기로 했다. 향후 제조하는 제품에 대해서는 문제가 된 교통카드 및 휴대폰 등록기능을 삭제해 문제발생의 근본적 원인을 차단할 계획이다.
기표원은 "최근 교통카드나 휴대폰을 출입문잠금장치에 등록해 사용하는 등 소비자 생활패턴이 변하면서 일부 교통카드의 식별번호(UID)가 모두 동일한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이를 비밀번호로 등록한 출입문잠금장치의 보안상 허점이 드러난 것"이라며 "교통카드 및 휴대폰 유심칩의 식별번호가 중복되더라도 교통카드로의 기능에는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기표원은 업체들의 자발적 리콜내용을 제품안전포털(www.saftykorea.kr)을 통해 공표하고 이번 리콜 대상제품 이외에도 추가 제품에 대해 소비자의 제보를 접수하기로 했다.
아울러 기표원은 교통카드 및 휴대폰 가입자를 대상으로 등록 해제, 전국민 대상으로 출입문장금장치에 등록 및 사용 자제 등 주의사항을 적극 알리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