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충정로칼럼>‘연 5조원’ 자동차 튜닝시장, 정부 의지에 달렸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7-25 15:3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지난 12~15일 자동차 튜닝을 비롯한 애프터시장 관련 전시회인 ‘2012 서울오토살롱’이 열렸다. 어느덧 10회 째니 초보 딱지는 뗐다. 하지만 국내 자동차 튜닝 시장이 활성화가 안 된 탓에 매년 어렵게 열리고 있는 실정이다. 그만큼 튜닝 시장은 불모지고 음지였다. 그럼에도 매년 열리고 있는 건 미래에 대한 희망 때문이다. 조직위원장을 맡는 필자 역시 아쉬우면서도 미래에 대한 기대를 갖고 있다. 언젠간 바뀔 것으로 확신한다.

국내 튜닝시장이 활성화 안 된 가장 큰 원인은 구시대적인 구조변경제도다. 수십년 전의 법을 그대로 하다 보니 ‘튜닝 불허를 위한 법’이 됐고, 정부 담당부서의 부정적 시각도 강하고, 개선 의지도 약하다. 물론 관련 전문가도 부족하다.

하지만 자동차 튜닝은 결코 부정적인 분야가 아니다. 새 시장 창출과 기술개발의 기회를 준다. 자동차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분야다. 다른 자동차 강국처럼 튜닝 산업이 발전한다면 2~3년 내 1조~2조원 시장이 형성되고, 수년 내 3조~4조원까지 커진다. 튜닝 시장이 커지면 자연스레 모터스포츠 시장도 1조~2조원까지 확대된다. 즉 연 5조원이라는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른 당장의 고용창출 효과도 5000~1만명은 이를 전망이다.

지금 법적 규제 대상은 지금의 튜닝이 아니라 불법 부착물이다. 물론 튜닝 분야는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환경부, 경찰청 등 많은 관련부서의 조율과 시너지가 필요한 만큼 힘들기도 하다. 필자는 지난해 국회에서 처음으로 열린 자동차 튜닝 정책간담회를 통한 연구를 마치고 지식경제부에 최종보고서를 제출했다. 이를 토대로 올 연말엔 국토해양부 자동차 구조변경제도 개선안도 낼 예정이다.

‘키’는 이제 국토해양부에 있다. 여러 부서가 관장하고 있지만, 가장 실직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이 국토해양부다. 하루속히 산하 자동차안전연구원 같은 연구 주체가 결정돼 선진형 자동차 튜닝 제도가 안착되기 바란다. 물론 튜닝부품 탈부착 기관의 개선이나 일선 업체의 자정적 노력 및 법적 정리도 병행돼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구세대적이고 후진적인 기존 자동차 구조변경제도를 완전히 소비자 중심의 원스톱 서비스로 바꿔야 할 것이다. 단순 튜닝 부품의 경우 인증제를 통해 탈부착을 자유롭게 하는 것 역시 도움이 될 것이다. 인증은 한국자동차튜닝협회 같은 관련 기관의 창립을 해서 하면 된다. 이렇게 되면 기존에 모호했던 경찰청의 단속 법적 기준 역시 명료해진다.

정부의 의지와 업계의 자정 노력으로 하루빨리 한국형 선진 자동차 튜닝제도가 안착되기를 바란다. 이미 세계 5위권의 품질과 양적 규모를 이룬 국내 자동차 산업은 이에 걸 맞는 자동차 문화가 만들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 중심에는 후진적인 자동차 튜닝제도가 있다. 무엇보다 ‘키’를 쥔 국토해양부의 의지에 기대를 걸어 본다.

(정리= 아주경제 김형욱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