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12년 상반기 이상거래에 대한 심리 결과 불공정거래 혐의로 한국거래소가 금융위원회에 통보한 건수는 총 162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61건과 비슷했다.
시장별로 살펴보면 현물시장은 지난해 상반기 123건에서 올 상반기 148건으로 소폭 증가했다.
하지만 주식워런트증권(ELW) 시장은 지난해 상반기 28건에서 올 상반기 10건으로, 선물ㆍ옵션 시장은 10건에서 4건으로 줄었다.
이에 대해 한국거래소는 “현물시장의 소폭 증가는 총선ㆍ대선의 영향으로 정치인 테마주를 이용한 불공정거래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규모가 작고 거래량이 적은 종목을 대상으로 한 시세조종이 여전히 발생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ELW시장이 전년 동기 대비 64.3% 대폭 감소한 것은 2011년 하반기부터 시행된 시장건전화 조치의 영향으로 거래가 급감한 것에 기인하고 선물ㆍ옵션시장도 주식시장의 변동성 축소에 따라 거래규모가 줄어들어 전년 동기 대비 60% 감소했다”고 말했다.
불공정거래 혐의 유형별로 살펴보면 부정거래는 14건에서 20건으로, 시세조정은 61건에서 74건으로, 단기매매차익은 6건에서 14건으로 증가한 반면 미공개정보이용은 49건에서 26건으로, 보고의무위반은 31건에서 28건으로 줄었다.
올 상반기 주요 불공정거래 사례를 요약하면 △실적과 무관하게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다수의 테마주(유력후보 연관주 등)를 대상으로 2~3일에 걸쳐 번갈아가며 시세조종 △포털사이트, 인터넷카페, 증권방송, 트위터 등을 이용해 ‘임상실험 승인 임박’ ‘면역 거부반응 전무’ 등 근거없는 풍문을 유포해 불특정 다수투자자의 매수를 유도한 후 매수세 유입에 따른 주가 상승시 보유물량 매도로 차익 실현 등의 사례가 적발됐다.
또한 보유주식의 평가이익 및 BIS비율을 높일 목적으로 결산기말 8일 동안 집중적으로 직전가 대비 고가로 매수해 주가상승을 견인하고 실적 악화로 관리종목 지정 또는 상장폐지가 우려되는 기업의 최대주주와 여타 정보수령자들이 악재성 정보(임직원의 횡령ㆍ배임에 대한 조사 진행)가 공시되기 전에 보유물량을 전량 매도해 손실을 회피하는 사례도 있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