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최원식·박규환 고려대 교수와 김재순 명지대 교수가 빛 에너지를 피부 속 깊은 곳까지 그대로 전달하는 방법을 찾아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피부와 같이 내부 구조가 복잡한 매질(파동을 전달시키는 물질)은 들어오는 빛의 대부분을 그대로 반사시키고, 10%이하의 극히 적은 양의 빛만을 투과시킨다.
따라서 빛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매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빛 에너지를 원하는 깊이까지 그대로 전달하는 기술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연구팀은 매우 작은(나노) 입자로 구성된 복잡한 매질을 높은 투과도로 통과할 수 있는 특정한 빛의 패턴을 만들어 빛이 기존보다 4배이상 도달하는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광열 치료와 광역학 치료 등 피부의 손상 없이 높은 빛 에너지가 피부 속으로 전달돼야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광 치료기술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최 교수는 “앞으로 매질 연구를 더욱 발전시켜 빛을 이용한 암세포치료 등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