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마오타이 생산업체인 구이저우(貴州) 마오타이는 지난 2001년부터 `국주마오타이(國酒茅台)' 상표 등록을 위해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결국 2010년 6월 제출한 등록신청이 지난 3일 국가상표국 1차 심의를 통과, 중국 국주의 왕좌에 한걸음 더 다가서게 됐다.
그러나 상표 심의통과 사실이 알려지면서 주류업체들이 특정 회사제품에 '국주'라는 타이틀을 붙여주는 것은 불공정하고 합리적이지 않다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고 신징바오(新京報)가 8일 보도했다.
마오타이와 바이주 왕좌를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여온 펀주(汾酒)업체가 가장 먼저 이의를 제기하고 나섰고 허난(河南)성의 두캉(杜康)(杜康 중국 명주 중 하나)업체들도 부당경쟁방지법 위반이라며 이의신청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량예(五粮液) 등 다른 바이주 업체들도 '국주' 칭호독점에 반대하고 있어 앞으로도 이의신청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마오타이가 '국주'라는 타이틀을 달게 되면 다른 바이주는 한등급 아래로 취급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업계에 번져있다고 지적했다.
업계 관련인사는 '펀주, 두캉, 우량예가 마오타이보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할 뿐 아니라 품질, 인지도면에서도 뒤지지 않는다"며 "너무 비싸 일반인들은 쉽게 즐길 수 없는 마오타이를 '국주'로 부르는 것은 이치에 어긋난다'고 반대의 목소리를 높였다.
중국의 상표법에 따르면 상표등록 1차 심의 통과 이후 3개월 간 이의신청을 받아 재심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구이저우는 업계 반발을 적극 무마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